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제임스는 득점이 많고, 실점이 적은 팀이 순위가 높다는 단순한 사실에 착안해 이 식을 만들었다. 현재는 피타고리안 승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수 2를 1.83으로 바꿔 계산하고 있다. 그런데 피타고리안 승률은 MLB 기록에 맞춰 만들어졌기 때문에 KBO 기록과는 딱 들어맞지 않는다.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말하진 않는다. 김 그룹장은 “공부하다 말고 스마트폰에 손을 뻗는 것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다면, 충동성을 억제하는 뇌가 잘 발달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발달 과정 중인 청소년기 뇌를 어떻게 하면 더 잘 발달시킬 수 있을까.“청소년기는 어떤 나이대보다 보상감을 크게 느끼는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윌리엄 허셜이 당시 최신 기술이 집약된 기계 ‘현미경’으로 산호를 관찰해 산호가 식물이 아닌 동물이란 사실을 밝혔습니다. 허셜이 살아가던 18세기에도, 그리고 오늘날에도 과학의 발전 덕에 인간이 보고 겪는 세계가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산호가 사실은 동물이었다는 발견처럼 생각보다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검출기에 검출된 것이 중성미자가 아닌 뮤온이라고 해석해 해당 데이터는 버리는 식이다. 조서연 독자는 “비싸고 복잡한 기구들이 아닌 물로 뮤온을 거른다는 사실이 매우 신기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찾아간 액체섬광계수기(LSC) 실험 공간은 직경 20m, 높이 25m의 웅장함을 자랑했다. 이곳에는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거의 모든 사물처럼, 서로 다른 부품과 재료를 연결해 하나의 사물을 제작하는 방식이 못에서 시작했다. 여러 재료로 구성된 현대의 고층 건물은, 결국 못으로 이룬 성공이다. 이처럼 우리 주위의 평범한 사물이 인류의 삶을 혁신하는 이야기를 읽고 나면, 일상 속에서 공학의 경이를 새롭게 체험할 ... ...
- 최고의 타자 결정하는 6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생산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한다. 보통 100이면 평균, 160 이상이면 최상 선수로 평가한다. 식이 복잡해 계산 과정은 생략했다. wRC+가 154.3인 노시환 선수는 KBO 평균보다 득점 생산력이 월등히 높다. OPS(공격 공헌도) 타자가 득점에 얼마나 공헌하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 ...
- 최고의 투수결정하는 4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번에는 투수를 평가하는 지표다. 2023시즌 다승과 평균자책점, 삼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최고 투수로 선정된 전 NC 다이노스 에릭 페디 선 ... 방법이 다르고, 정확한 WAR 계산 방법이 알려지지 않았다. 야구 통계 분석 사이트마다 다른 식을 이용한다. 현재 모든 구단이 WAR을 활용하고 있다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구들의 사용은 인간이 자연을 바라보는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다줬다. 기구들을 이용해 물질을 조합하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활동은 ‘실험’이라는 새로운 과학적 방법론을 만들었다. 비록 금은 만들지 못했을지언정, 연금술은 인간이 자연을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단언할 수는 없었다.그 밤 이후로는 좀처럼 ★★들이 좋아하는 날씨가 오지 않고 봄은 순식간에 여름이 되어, 아리가 ★★를 다시 만난 것은 역대급 더위를 견디고도 지난한 기다림을 지나서였다. 그렇지만 자꾸 전화하고 약속을 다시 잡는 사이에 정우의 모습을 한 ★★과 아리는 말하자면,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왜냐하면 그는 소수의 개수를 알 수 있는 식을 설명하는 게 중요했고, 가설은 부수적인 조건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해당 논문에 그는 ‘이 가설은 엄밀한 증명을 거쳐야 한다. 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증명을 시도해 봤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