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위치"(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로봇 군단의 탄생을 막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정신이 든 듯 “딱지야?”라고 말했습니다.“프로보!”딱지는 자기도 모르게 캡슐의 스위치를 끄고 프로보를 끄집어냈습니다. 프로보가 머리를 흔들며 중얼거렸습니다.“큰일나는 줄 알았다. 내 의식이 다른 몸에 들어가기도 하고, 다른 의식이 내 몸에 들어오기도 하는 등 정신이 없었다. 이게 ... ...
- [기획] 양자컴퓨터 분신술로 더 빨리 계산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기존의 컴퓨터는 정보 처리 단위인 ‘비트’를 사용해요. 비트는 마치 형광등 스위치를 끄고 켜듯, ‘0’이나 ‘1’ 둘 중 하나의 정보만 담을 수 있습니다.그런데 양자컴퓨터의 정보 처리 단위인 ‘큐비트’에는 0과 1은 물론, 0과 1이 여러 가지로 중첩된 상태도 담을 수 있어요. 이런 차이로 인해, ... ...
- [이달의 아이템] 마음을 전하는 작지만 큰 감동, 선물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어떨까.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는 콘솔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로 말이다. 닌텐도 스위치는 ‘동물의 숲’, ‘젤다의 전설’, ‘슈퍼마리오’, ‘포켓몬’ 등 인기 게임을 독점으로 제공하며,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게임도 많다. 온라인으로 구독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고단한 하루를 ... ...
- [융복합@파트너] 빛으로 구현하는 극초고속 계산 기계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이 기술로 광섬유를 다발로 사용하지 않고도 광통신이 가능한 광스위치를 개발했다. 광스위치는 회선을 서로 연결시키는 일종의 ‘전화국’ 역할을 한다. 실리콘 포토닉스 멤스 기술로 광섬유를 직접 움직인 덕분에 훨씬 더 빠르게 많은 회선 재배치가 가능해졌다. 자율주행차, 라이다(LiDAR), 우주 ... ...
- [이달의 과학사] 1958년10월18일 최초의 비디오 게임,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비디오 게임으로, 화면은 테니스 코트를 옆에서 본 모양이었어요. 두 명의 게임 참가자는 스위치를 돌려 공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었지요. ●오실로스코프 : 전기 신호의 파형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점수도, 승패도 없이 공을 주고받는 게 다였지만, 의 인기는 대단했어요.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활발히 연구중이다. 현재 상용화돼 판매 중인 발열 의류 제품은 대부분 전기장판처럼 스위치를 켜면 옷에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는데, 한 번에 옷 전체를 켜고 꺼야 해 불편했다. 신체 부위별로 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다르고, 사람마다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가 다르지만 이를 고려할 수도 없었다 ... ...
-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2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눌러 설정창을 열고 레드스톤 옵션을 ‘항상 사용’으로 바꿨지요. ‘레드스톤’은 전기 스위치와 같은 역할로 항상 켜두면 커맨드블록의 명령이 항상 실행돼요. 두 번째 각 NPC마다 커맨드블록 만들기 ➊ 소환했던 나머지 NPC로 이동하여 같은 방법으로 커맨드블록을 설치했어요. 좌표(-20, 4,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공격할 때 보복용 비밀 핵무기까지 같이 파괴해 버리면, 우리가 전멸해서 죽은 자의 스위치가 작동해도 보복 공격을 할 수단이 없다. 그러면 세상은 같이 멸망하게 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것은 나쁜 일이다. 왜냐하면, 공격을 당해도 이 세상이 멸망하지 않게 되면, 적은 우리를 공격할 수 있게 되고 ... ...
- 스티브코딩쌤-마인크래프트 [400호 기념] 마인크래프트 어과동 마을제작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없는 평면이 좋아요. ➌ 월드 [옵션]에서 ‘좌표 보기’ 스위치를 오른쪽으로 옮겨 스위치를 켰습니다. 좌표를 봐야 앞으로 배울 ‘fill’ 명령을 사용할 수 있지요. fill 명령어로 어과동 마을을 건축하라!건축을 위해 크리에이티브 모드를 이용해도 되지만, 명령어를 쓰면 더 쉽게 건축할 수 ... ...
- [기획] 노벨생리의학상, ‘당연한 감각’ 이면의 비밀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음식을 먹으면 왜 혀가 아프고 땀이 날까. 또 한밤중에 불빛 없이도 손을 뻗어 전등 스위치나 문고리를 찾을 수 있는 이유는 뭘까. 우리는 몸이 자극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능력이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해 별다른 의문을 갖지 않았다. 2021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이 당연함의 이면에 숨은 비밀을 파헤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