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확량"(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식물이 자라기 힘든 토양에서도 재배할 수 있고 재해에 강하며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많아 싼값으로 많은 사람을 먹여 살릴 수 있지요. 각종 무기질과 식이섬유가 많고, 재배할 때 농약이나 비료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국내 최고의 ‘고구마 박사’로 불리는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예를 들어 유전자를 편집한 토마토에서 열매가 2배 이상 열리는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수확량이 늘었다며 반기겠지만, 다리를 4개 가진 닭이 태어난다면 극심한 거부감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생식세포(정자, 난자)와 수정란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후대로 고스란히 유전될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발생했다는 걸 발견했어요. 20℃는 농작물이 가장 잘 자라는 온도예요. 이상기온으로 수확량이 줄어 경제가 나빠지면 내전이 심각해져 난민의 수가 늘어나는 거지요. 연구팀은 기후 예측 모형을 이용해 앞으로 난민 신청자가 얼마나 늘지 계산했어요. 그 결과, 인류가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2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추정되는 유전자도 찾아냈다. 고온 스트레스에 강한 우리밀환경순화적인 방법으로 수확량을 늘릴 비법도 유전자에 있다. 다양한 기후환경에서 자라는 밀을 가져다 파종부터 수확까지 어떤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 확인하면 물과 농약,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고도 환경에 잘 적응해 자라는 ... ...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억제하는 방법을 찾아 이를 조절하면, 낙과로 잃어버리는 식량 작물의 손실을 줄이거나 수확량을 늘리는 등 식량 생산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야생 벼나 옥수수는 씨앗을 맺으면 번식을 위해 터져 버린다. 나무가 열매를 맺는 착과율의 경우 사과는 10%, 오렌지는 1%에 불과하다. 식물에게는 번식을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도량형 제도는 물건을 사고파는 데 큰 걸림돌이었다. 봉건주의 사회에서 농민들에게 수확량의 일정량을 소작료로 걷는 과정에서도 ‘기준’을 둘러싼 잡음이 많았다. 결국 루이 16세는 프랑스과학아카데미에 새로운 도량형 체제를 만들 것을 명했다. 이미 관습으로 뿌리를 내린 도량형 제도를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곽 책임연구원은 “적합한 품종을 고르고, 생육 방식을 달리한다면 단위면적 당 수확량을 두 배 이상 높여 25t가량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옥수수, 감자, 밀 등의 재배지를 고구마 밭으로 전환하면 식량난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06년 당시 과학기술부는 ... ...
- [과학뉴스] 2300년 어류 수확량 20% 이상 감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300년에는 전 세계 어류 수확량이 20% 이상 감소하고, 특히 북대서양에서는 60% 가까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키스 무어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지구시스템과 학과 교수팀은 대기, 빙하, 해양의 생물권 등을 장기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지구시스템모델(ESM)’을 이용해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전성기를 누린 뒤 농민 반란이나 외세의 침입으로 난세가 이어지는 이유가 바로 1인당 수확량의 감소 때문이다. 그리고 이 말을 거꾸로 해석하면, 산업혁명 이전에는 인구가 곧 국력이었던 셈이다. 인구가 많다는 것은 곧 땅이 넓고 토지가 비옥하다는 것을 의미하니, 결국 중국이나 인도 같은 대국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적응성이 우수하고 흰가루병과 바이러스 등에 저항성이 높아 맥주보리로 인기가 많다. 수확량도 1헥타르(ha)기준 6.7t(톤)으로 다른 국산 보리보다 17% 가량 많다. 박종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육종과 연구사는 “같은 품종의 맥주 보리라도 키우는 환경에 따라 맥주 제조에 중요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