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균관대"(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분야에서는 색 순도와 열 안정성 등을, 태양전지에서는 광전환 효율을 말한다.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이 경금속인 인듐보다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다”며 “현재 납으로 만든 퀀텀닷 태양전지의 최고효율이 16.6%인 반면, 3-5족 퀀텀닷으로 만든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것이다. doi: 10.1103/PhysRevLett.92.186601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에서 퀀텀닷을 연구한 정소희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이는 다중 여기자 생산(carrier multiplication)이라는 물리 현상”이라며 “퀀텀닷을 이용하면 태양전지가 마치 두 개의 태양에서 빛에너지를 받아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과 같은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말했다. 이에 대해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는 “태양전지를 플라스틱 소재로 가볍게 만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나무 위나 건물의 지붕 같은 제한된 면적에 태양전지를 여러 개 설치하려면 무게가 ...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최상급에 다다른 수준”이라고 말했다. 심도카메라용 이미지 센서를 연구 중인 최재혁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반도체 나노 공정이 고도화될수록 이미지 센서의 화소와 정보처리 능력은 점점 더 좋아지고 있다”며 “줌 성능을 향상시킬 기술적인 여력은 많지만, 소비자의 수요에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각각 한 편씩 실렸고, 나는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만 30세가 되던 2013년 성균관대 교수로 임용됐다. ‘교수가 되겠다’던 고등학교 시절의 꿈을 이룬 것이다. 물론 이와 동시에 새로운 도전도 시작됐다. 알파고와 이세돌이 이끈 인공 뇌 연구나만의 연구실이 생기자 이전 연구들과 겹치지 않는 ... ...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러시아 과학자들은 이를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라고 명명했다.배완기 성균관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기존 반도체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소재의 조성이나 구조에 따라서만 결정됐다면 퀀텀닷이 등장하면서 크기라는 변수가 하나 더 생긴 것”이라며 “기존의 반도체 소재들을 더 ... ...
- 초등토론배틀, '게임 중독' 질병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안녕! 나는 게임을 한 판만 더 하고 싶은 판다 ‘한판다’야. 5월 25일 세계보건기구가 ‘게임이용장애’, 일명 ‘게임 중독’을 질병으 ... 한국뇌연구원 뇌발달질환 연구그룹 선임연구원), 이재원(이지브레인 원장), 장춘곤(성균관대 약대 교수),하지현(건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되네요)’ 등 실제 축구 해설가 같은 화법을 구사하며 사실감을 높였다. 우승은 광운대, 성균관대, 미국 퍼듀대 등 6개 대학 연합팀인 ‘꼬부기’ 팀이 차지했다. 꼬부기 팀은 경기상황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면서 중간중간에 ‘경기가 60초 남았습니다’라든지 ‘선수 3명이 한 곳에 몰려있으면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미생물학을 전공했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유전자과에서 22년간 근무했다. 현재 성균관대 과학수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법과학, 법유전학 및 DNA 감식과 관련된 교육과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15건의 국내 및 국제 특허를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로봇 분야를 연구했던 만큼 AI 구동 프로세서 등 하드웨어 연구에도 강점이 있다. 이지형 성균관대 인공지능학과 학과장은 “AI 자체를 개발하는 연구도 중요하지만, 고성능 AI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도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예를 들어 2016년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을 펼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