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이한 곳"(으)로 총 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필요 없게 된다. 오늘날 영하 10℃는 셀시우스에게는 110℃였다. 산꼭대기처럼 높은 곳에서 밥을 지으면 설익는다. 기압과 함께 물의 끓는점도 낮아져,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쌀이 익으니 밥이 잘 될 리 없다. 집에서 쓰는 압력밥솥은 거꾸로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쌀을 익혀, 짧은 시간 안에 밥을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따뜻한(?) 우리나라를 찾는다. 이들의 공통점은 ‘이동성’. 좋은 환경과 먹이가 있는 곳으로 전 세계 어디든 갈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동물에게는 없는, 새만이 가진 능력이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에너지가 어마어마하게 들고, 폭풍우나 비행기, 높은 빌딩, 맹금류의 공격 등 여러 가지 위험이 ... ...
- 근시 vs 원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무엇인가요? 강지훈 (김해 봉명초 6)근시가까운 곳은 잘 보지만 먼 곳은 보기 어려운 눈이에요. 사람의 눈은 둥근 공 모양의 ... 교정할 수 있어요. 원시근시와는 반대로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눈이에요. 먼 곳을 볼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눈앞의 책을 읽거나 ... 맺히기 때문에 생겨요. 그래서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생기는지 연구해왔어. 그는 동역학계에서 모든 점이 특정한 곳으로 모이거나 무작위로 퍼진다는 사실을 증명해 동력학 연구에 ... 자선사업가로 활동하는 수학자란다.사이먼스는 “수학은 다른 곳에 응용할 때 진정한 아름다움이 발휘된다”고 강조했어. 그의 ... 친구들도 있을 거야. 하지만 수학은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불규칙위성처럼 매우 작고 멀어서, 망원경으로 봐도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 먼 곳에서도 행성 주위를 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다. 의 두 번째 ‘삐딱 위성’ 네레이드가 ... 불규칙위성처럼 매우 작고 멀어서, 망원경으로 봐도 점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저 먼 곳에서도 행성 주위를 돈다는 ... ...
- 괴짜 천문대장, ‘저벼리 빈나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회사 옥상에 천문대가 세워졌다.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관측할 수 있는 곳이 생긴 것이다. 썰렁홈즈는 천문대 개소식에 초대 받는 영광을 얻었다.“자~, 어서 오세요 ... 대단해요. 이제 천체투영관으로 가 볼까요? 천체의 모습을 돔형 스크린에 비춰 보는 곳이랍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세 번째, 아름답고 푸른 행성 ‘지구’. 우리 모두가 사는 곳입니다. 공기와 물이 있고, 태양으로부터 거리도 알맞은 ‘천혜의 환경’을 갖춘 이곳에서 어느 날 생명체가 태어났습니다. 작디 작은 미생물에서 ... 대기 아래에 아직 물렁물렁한 지각과 마그마가 들끓는 지옥 같은 곳이었지요. 지각이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친구들의 시력을 지키기 위해 이곳저곳을 떠돌고 있지. 어떻게 하면 좋은 ... 상이 눈 안의 ‘망막’이라는 곳에 맺혀야 해. 망막은 카메라에서 ... 근시가 있다?우리 눈은 가까운 곳을 볼 때 조절 작용이 일어나는데 ... 모양체근의 탄력이 좋기 때문에 먼 곳을 볼 때도 모양체근이 수축 상태를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것이다. 이후 이탈리아의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밝은 빛을 바라본 뒤 어두운 곳으로 시선을 돌리면, 여전히 그 빛을 보고 있는 것과 같은 착각이 든다는 것을 발견했다.아리스토텔레스와 다빈치가 발견한 현상에 대해 과학적인 이론을 내놓은 것은 영국 물리학자 피터 로제다. 그는 1824년,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앙글레르 교수가 보낸 논문이 미국물리학회지에 게재된 바로 그 날 힉스 교수가 같은 곳에 논문을 투고했음을 알 수 있다.물론 이 말은 힉스 교수가 앙글레르 교수의 연구를 보지 않고 연구를 독립적으로 했다는 뜻이며, 편집자가 넣은 것으로 보이는 논문 주석에도 이 사실이 언급돼 있다. 하지만 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