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얼음과 공기 사이의 온도 차와 접촉된 단면적에 비례하고, 얼음의 두께에 반비례한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와드햄스는 이 방정식으로 얼음의 변화량을 예측해본 결과, 얼음이 없는 북극해가 2050년 이전에 반드시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빙하 속 바닷물의 흐름도 예측 미국 응용수학자 케네스 ... ...
전염병 모형 만드는 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A)으로 세분화한 것이다. 무증상 감염 집단이 감염 집단보다 전파력이 떨어진다는 의학적
사실
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이처럼 전염병의 특성에 맞춰 수학 모형을 변형해 이용한다. 동물 전염병도 수학 모형으로 연구 구제역,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동물 전염병을 연구할 때에도 수학 모형이 ... ...
수학은 명탐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지진이 발생했을 때 뒤따르는 여진을 예측하는 수학 공식을 이미 만들어 놓았다. 그
사실
을 확인한 몰러는 같은 공식을 후속 범죄 예측에도 활용했다. 즉 지도상의 각 지점의 범죄 발생률이 주변 지역에서 일어난 범죄의 양과 최초 사건에 뒤따르는 범죄의 분포를 추가한 값과 같다는 것이다. 두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씨앗, ‘치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USAG-1이라는 단백질이 BMP를 무력화한다는
사실
을 밝혔습니다. 실제로 쥐와 페럿으로 실험했을 때 USAG-1 단백질을 억제한 동물은 BMP 단백질이 활성화돼 새로운 치아가 자라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연구팀은 주사제 형태의 USAG-1 단백질 억제제를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방정식 2020년 천체물리학자 크리스토프 콘슬라이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당시 밝혀진
사실
과 새로운 가설을 통해 통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정식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행성에는 반드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지적 생명체로 진화한다는 전제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요양병원에 입원 중이던 할머니를 병원 관계자가 학대하고 방치한 사건이었다. 학대
사실
을 입증하기 위해 요양병원 CCTV의 영상이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이미 삭제된 뒤였다. 그런데 이 삭제된 파일이 요양병원 컴퓨터의 휴지통 폴더에서 발견됐다. 소 분석관은 컴퓨터 화면에 뜬 일련의 숫자열을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전화였다. 유 교수가 외국 대학에 스카웃 제의를 받았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 소문이
사실
인지 그저께부터 그는 하나, 둘 능력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전화해서 회식 날짜를 잡고 있었다. 어디서 유출이 되었는지 알 수 없었지만 외국 대학으로 떠난다는 유 교수의 말에 인터넷에는 욕들이 한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내는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모뿔연골’이라 불리는 수염고래의 신체 구조가 커다란 U자 형태로 진화했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이 U자형 연골과 후두 내부의 지방 쿠션 사이로 공기가 지나갈 때 수염고래 특유의 30~100Hz(헤르츠) 정도의 저음이 발생함도 확인했다. 엘레만스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가 예측한 고래의 발성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수학 모형을 활용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전염병을 막는 데 수학의 역할이 크다는
사실
이 공공연하게 알려졌다. 수학 모형을 통한 전염병 전파 예측은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는 정책 결정을 내릴 때에도 주요한 근거가 된다. 우리 정부도 코로나19 방역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체중 감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과학적 근거가 다소 부족한 것은
사실
”이라며 “앞으로 CGM과 체중 감량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하일 교수 역시 “어떤 원리로 혈당 관리가 체중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 필요에 의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