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실
상실
로스
손실
도난
d라이브러리
"
분실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암호화되지 않은 채 저장된 위치정보는 해킹되거나 스마트폰이
분실
되면 쉽게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과거 행적이 그대로 알려질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위치정보 서버 간 통신을 모니터링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심각한 사생활 ... ...
PART 1 미래 자전거의 4대 덕목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바로 아래에 새겨져 있는 ‘차대번호’다. 차대번호를 가까운 기관에 등록하면 자전거
분실
에 대비할 수 있다. 국내 한 자전거업체는 9자리의 차대번호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담고 있다.②안전 생각을 뒤집은 세발자전거어릴 때 처음 타는 자전거는 대부분 세발자전거다. 제자리에 서 있거나 천천히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골은 하나하나 정성스럽게 한지로 감싸 오동나무로 된 소관(小棺)에 입관했다. 행여나
분실
될 염려가 있는 발가락뼈는 비닐포장에 넣었다. 한지에 쌓은 유골 위로 빈 명정(銘旌)이 처연히 덮인다. 죽은 이의 이름과 계급을 알길이 없기에 텅 비어 있다.이윽고 소관 위로 흰 태극기가 덮였다.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이를 해독하려면 슈퍼컴퓨터로도 1만 년 이상이 걸린다고 해.내 몸이 암호야!최근에는
분실
이나 도용의 위험이 없는 생체인식기술이 뜨고 있어. 이 기술은 어떤 암호보다도 보안성이 뛰어나. 지문의 경우를 예로 들면 다른 사람과 지문이 똑같을 확률은 640억 분의 1로 매우 낮아. 하지만 군인이나 ... ...
외장 하드디스크의 화려한 외출 S1 미니(Mini)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기능을 크게 강화했다. 백업할 때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세이프티키’ 기능이 있어
분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파일이 유출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S1 미니에는 별도의 가상 드라이브를 만들어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인 ‘시크릿존’이 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 ...
[생물]생체인식 기술의 특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공유, 노출, 망각,
분실
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에 비해 생체인식은 공유, 망각,
분실
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 다음 표에는 각종 생체인식 방법과 그 장단점이 정리돼 있다. (다) 지문은 손가락의 진피부분이 손상되지 않는 한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인식 수단으로 ... ...
휴대폰
분실
, 이제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도 있다.영국 시만텍(Symantec)의 무선보안 전문가인 올리 화이트하우스는 “휴대폰이
분실
되거나 도난당했을 때 무분별한 사용을 막을 수 있게 됐다”면서 “비밀번호와 같은 보안유지체계를 귀찮아하는 휴대폰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주민번호와 지문이 안보이는 새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주민등록번호와 지문, 주소 모두를 불필요하게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주민증을
분실
하거나 도난당하면 제2, 제3의 피해로 이어지는 일이 종종 벌어진다. IC칩에 정보를 담은 새 주민증 역시 개인신상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를 담고 있어 정보유출과 사생활 침해 문제가 제기됐다. 정부는 부가서비스의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유미 박사는 선배 학자들이 평생동안 모은 견본들도 보관을 잘못하거나
분실
해 남아있지 않다고 안타까워했다. 그 결과 많은 학자들이 우리나라의 식물 견본을 보러 일본이나 러시아 등 외국 박물관을 찾는 아이러니가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대학은 돈이 되지 않는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몇몇 우주왕복선에서 물방울 때문에 기계가 고장난 적도 있었고 가위를
분실
해 찾느라고 소동이 벌어진 적도 있었다고 한다. 책상정리를 잘 못하는 사람은 우주인으로 자격이 부족할지도 모르겠다.물방울이 뭉쳐 떠다니기 때문에 샤워도 할 수 없다. 때문에 물을 수건에 적셔서 몸을 닦을 수밖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