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개발해 방광암 세포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 소변을 연료로 사용한다고?보통 로봇은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얻지만 나노로봇은 너무 작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어려워. 그래서 동력을 얻기 위해 빛, 소리, 자기력 등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해 왔어. 하지만 나는 소변을 동력원으로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나누는 위도경도 격자를 사용해서 지구 곳곳의 날씨를 균일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보통 한 조각에서 일정 개수의 점 위치를 정해 날씨를 예측한다. 문제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격자의 간격이 0km에 가까워져서 한 조각이 너무 작아진다는 점이다. 반대로 적도지방으로 갈수록 조각이 너무 커져서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자에게 소 분석관은 ‘119, 210, 211, 212’라는 숫자 패턴을 예시로 들었다. 우리는 보통 119 다음에 120이 올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숙련된 멀티미디어 복원 전문가의 눈에는 19, 20, 21, 22를 나타내되, 가운데에 숫자 1을 끼워 넣은 형태라는 게 보인다. 이런 데이터 속 규칙성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밝혀냈어요. 원구일영은 지름★의 공 모양 해시계로, 134년 전인 1890년에 만들어졌어요. 보통의 해시계는 한곳에 고정돼 있지만, 원구일영은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든 시각을 읽을 수 있어요. 하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시계가 고장나고 부품이 사라지기도 해서, 정확히 어떤 방법으로 작동하는지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종류다. 대형은 선수를 경기장에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역할을 맡길 것인지를 나타낸다. 보통 대형에서는 선수를 공격수와 미드필더, 수비수로 나눠 얼마나 많은 선수를 배치할 것인지 표시한다. 골키퍼를 빼고 수비수가 몇 명인지 먼저 쓰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4-4-2라고 하면 수비수 4명, 미드필더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행동 패턴은 공개돼 있지 않기에 플레이어는 게임을 해보며 행동 패턴을 예측해야 한다. 보통 가장 가까이 있는 적에게 다가가 공격하지만, 어떤 영웅은 멀리 있는 적에게 돌진해 적을 밀어낸다. 만약 자신의 영웅 중 가장 승부에 영향이 큰 영웅을 보호하려면 영웅들의 공격 사거리를 알아야 한다 ... ...
- 최고의 타자 결정하는 6가지 지표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표로, 리그 평균 수준의 타자를 100으로 두고 타자의 생산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한다. 보통 100이면 평균, 160 이상이면 최상 선수로 평가한다. 식이 복잡해 계산 과정은 생략했다. wRC+가 154.3인 노시환 선수는 KBO 평균보다 득점 생산력이 월등히 높다. OPS(공격 공헌도) 타자가 득점에 얼마나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2번 타자는 3번 타자로 나올 때보다 40타석 정도 더 설 수 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보통 2번 타자는 발이 빠른 타자를 쓴다. 1번 타자가 출루하면 안타 또는 희생 번트를 통해 주자를 득점권에 안착시키는 역할이 2번 타자가 하는 일이다. 하지만 공격력이 뛰어난 타자를 2번 타순에 배치하면 ... ...
- 통계로 정해지는 이적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금 받는 선수의 연봉과 나이 등 현재와 미래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책정한다. 보통 실력이 비슷하면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해볼 만한 유망주의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된다. 이적료 측정은 통계로! 적정한 이적료를 책정하기란 어려운 문제다. 고액의 이적료를 지급하고 선수를 데리고 왔는데, ...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총알 총알의 움직임은 포물선에 가깝다. 이를 염두에 두고 정확히 조준해야 한다. 보통 총알이 수평으로 나간다고 여기고 조준하는데, 총알이 수평으로 나간다고 해도 중력의 영향을 받아 결국은 아래로 조금 떨어질 테니(1) 수평보다 살짝 위로 쏴서 총알이 포물선을 그리도록 해야 목표 지점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