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유자
담체
d라이브러리
"
보균자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신생아에서 노인까지 누구나 10종 이상 백신 투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등)으로 구분된다.태어나자마자 처음 접종받는 것은 B형간염백신이다. 어머니가 간염
보균자
일 경우에는 특히 빠른 시간 내에 백신과 항체를 같이 투여해야 한다. B형간염은 급성으로 발병된 후에는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어릴 때 B형간염에 걸릴 경우 만성간염으로 이전될 확률이 높다. 만성으로 ... ...
겨울철 실내 스포츠의 꽃 농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throw) 경기를 이길 수 있는데다 상대방과의 몸 싸움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자신이 AIDS
보균자
임을 밝혀 더욱 유명해진 미국의 ‘퇴물’ 선수 매직 존슨이 방한해 우리 선수들과의 경기에서 보여준 놀라운 기량은 사실 그의 체력이 아직 시들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주는 실례. 그는 단 두세번의 ... ...
미의학계, 신종 바이러스 추적 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과반수 이상이 치사에 이르렀다)를 보고했다. 이 환자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등줄쥐(1차
보균자
)의 건조한 분뇨를 들이마셔 발병한 것으로 여겨졌다. 발생지대에 사는 쥐의 약 30%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고 다른 지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감염된 쥐가 발견되고 있다.그러나 이들 보균동물과 거의 ... ...
식중독, 90% 이상 세균성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나타나면서 두통이나 오한이 뒤따른다. 대개 2-3일 지나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1% 이하다.
보균자
의 대변이나 쥐 고양이 개 돼지 등의 분변이 세균의 중요한 급원. 특히 쥐는 이 세균을 배설하고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하면 세균은 죽는다.● 보툴리누스 식중독 - 보툴리누스 균이 식품에 오염돼 ... ...
아주 작은 악한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한다.최근의 통계는 끔찍하다. 1년에 발생하는 말라리아 환자가 1억명 이상이고
보균자
는 약 3억명 정도이며, 사망자만 해도 2백만명 이상이다. 비교적 말라리아의 위험이 없는 나라에 살고 있는 수백만의 사람들이 말라리아에 시달리는 나라를 예방책 등 적절한 지식도 없이 여행한다.여행객들은 ... ...
치과에서 옮은 AIDS로 미국서 소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람들은 정확한 검사 자체를 피해버린다. 따라서 아서의 환자들중 밝혀지지 않은 AIDS
보균자
들이 더 도사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현재까지의 조사결과 역학팀은 두가지의 가정을 내려놓고 있다. 그 하나는 아서가 사용한 치료기구들이 오염됐을 가능성이다. 만약 그가 이미 AIDS에 감염된 ... ...
PART II 5대암의 증상과 예방책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10에서 간경변증이 발생하고 간경변증환자의 1/10에서 간암이 발생한다. 특히 증상이 없는
보균자
도 간암이 발생할 수 있어, B형간염바이러스 항원 양성률이 7~8%에 이르고 있는 한국인은 그만큼 간암 발생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B형바이러스의 암유전자가 간세포의 암유전자와 결합돼 간세포의 ... ...
국민 10명중 1명 꼴 황달없는 간염이 더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개발되어 적극적인 예방이 가능해졌다. 국내에는 자신도 모르게 앓고 면역이 되었거나
보균자
로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단 약간의 피를 뽑아 B형간염바이러스 항원 항체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항원이 양성이면 바이러스가 몸 안에 있다는 뜻이다. 또 항체가 있다면 이미 몸 안에 면역이 ... ...
PartⅢ 한국인이 주의할 점 ▶콘돔은 꼭 ▶면도기 등 공동사용기회 줄여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음식을 먹는 것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이는 지금까지 AIDS 환자 발생 보고에서
보균자
와의 악수, 키스 포옹등 가벼운 접촉으로 인한 감염이 없었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아직까지 AIDS환자의 감염경로가 정확히 밝혀진것이 아니고 보면 가벼운 접촉이라고 해서 '전혀 상관없는 것'이라고 ... ...
간염백신의 대량생산 길을 활짝 열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사람들의 간염보유율이 높다는 어느 학생의 연구에서 실마리를 잡았지요. 그리고 간염
보균자
가 가장 많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침팬지가 전혀 없어요. 그래서 다른 동물을 찾다가 거북이에 착안을 한 것입니다" - 그러면 앞으로의 간염연구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지금까지 침팬지 이외에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