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병
연합
통합
동화
합방
합동
제휴
d라이브러리
"
병합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게 현재로선유일하다. 중력파 관측소는 상대적으로 관측범위가 길다. 중성자별 쌍성
병합
은 중력파 신호가 강해, 6억4200만 광년 거리에서 도 관측할 수 있다. 1년에 40개도 관측 가능하다.2020년대가 되면 중력파 관측소들이 속속 문을 열고, 기존 관측소들의 감도도 높아진다. 이형목 교수는 쏟아지는 ... ...
[News & Issue] 블랙홀이 먹을 수 있는 최대 질량 태양 500억 개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블랙홀은 주변에 있는 물질을 빨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까지 먹어치울 수 있는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영국 레스터대 물 ... 영국 과학매체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블랙홀은) 다른 블랙홀과
병합
하지 않는 한 질량의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탈출할 수 없는 블랙홀도 유일하게 중력파 망원경으로는 볼 수 있다. 거대블랙홀의
병합
과정을 밝히고, 중간단계 블랙홀의 존재와 형성과정을 알아낼수 있을 것이다. 또 무거운 별의 마지막 진화과정을 관찰하고 우리은하 중심부의 중력장을 파악하며 우주를 한층 더 깊이 이해해나가리라 기대한다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믿는다.- 에르빈 슈뢰딩거 (1944)1938년 오스트리아가 나치독일에
병합
된다. 그라즈대 교수로 있던 슈뢰딩거는 곧 곤경에 빠진다. 나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혀왔기 때문이다. 그라즈대에서 해임된 슈뢰딩거는 고국을 등질 수밖에 없었고, 결국 1940년 아일랜드 더블린의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고압송전선의 위험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대도시 주변에서 중소형 LNG 열
병합
발전소 등을 가동하고 장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해 각 지역에서 필요한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당장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해서는 “더 이상 새로운 송전선로를 만들지 말고 기존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상승해 연직으로 높게 발달한 구름을 만든다. 구름 속에서는 구름입자들이 충돌·
병합
과정을 거쳐 빗방울로 커지고, 영하의 구름 내부에서는 얼음알갱이가 성장해 강수가 시작된다. 강수가 강한 지역에서는 하강기류도 동시에 발달한다. 어떤 얼음알갱이는 0℃ 근처의 고도에서 상승과 하강을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그는 “경복궁만큼 (일제에 의해)정책적으로 파괴된 문화재는 없었다”면서 “한일 강제
병합
100주년이 되는 올해 반드시 공개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42년 만에 다시 태어난 광화문. 전통기술과 현대과학의 조화로 새롭게 태어난 광화문이 한민족의 역사를 꾸준히 지켜보길 기대한다.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할 중요한 문제다.우리 은하는 대규모
병합
을 통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병합
과정에서는 유사 팽대부가 아니라 고전적 팽대부가 생겨야 한다. 우리 은하처럼 유사 팽대부를 가진 나선은하 또는 팽대부가 없는 나선은하가 어떻게 생성됐는지는 아직까지 설명할 길이 없다.과연 우리은하는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지방에서는 구름 속에 물방울만 있어 물방울끼리 충돌하다 성장해 비가 내린다. 이를
병합
설이라 하고, 이때 내리는 비를 따뜻한 비라 부른다. 보통 빗방울(지름 2mm) 1개가 만들어지려면, 구름 속 물방울(지름 0.02mm)이 100만 개나 모여야 한다.한편 매년 사막에서 10억~30억t에 이르는 먼지가 하늘로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동해 한 사이클이 완성된다.캘빈회로광합성 생물이 이산화탄소를 탄수화물(포도당)로
병합
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탄소고정회로 또는 광합성탄소환원(PCR) 회로라고도 한다. 이 회로를 밝힌 멜빈 캘빈의 이름을 붙여 캘빈회로라 부른다. 캘빈은 광합성 경로를 밝힌 성과를 인정받아 1961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