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기
배지
d라이브러리
"
배양액
"(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손상 없이 분자 운동이 정지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냉동된 난자를 녹일 때는 실온의
배양액
에 담가 온도를 올려 녹이는 급속 해동법을 이용한다. 유리화동결법이 도입된 이후 냉동 난자의 생존율은 40%에서 95% 이상으로 크게 올랐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현재까지 발표된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알아냈습니다. 프랭크 릴리 시카고대 발생학과 교수는 성게의 난자를 따로 배양한 뒤 그
배양액
을 정자가 있는 배양 접시에 몇 방울 주입했습니다. 그랬더니 접시에 듬성듬성 퍼져 있던 성게 정자들이 갑자기 몇 개의 구슬처럼 떼를 지어 모이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난자에서 정자를 끌어들이는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대장균은 포도당을 이용해 방향족 폴리에스터를 생산한다. 대장균을 72시간 배양하면
배양액
1L당 13.9g의 친환경 플라스틱을 얻을 수 있다. 이 플라스틱은 페트병 형태를 기준으로 땅속에서 6개월 정도면 분해된다. 이 교수는 “공업적으로 합성하는 플라스틱 생산 방식에 비해서는 아직 효율이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배양액
이 담긴 수조에서만 작동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배양액
을 하이드로겔로 만들어 세포가 달려 있는 부분만 감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소프트로봇과 비교하면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된 수준이어서 축적된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하다.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쥐의 뇌 조직에서 띠뇌실막세포를 떼어낸뒤, 리신과 아르기닌 등 주요 아미노산을
배양액
에 넣었다. 그 결과 아미노산을 인식한 지 30초 만에 뇌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신호물질을 방출했다. 연구진은 리신과 아르기닌이 많이 든 음식을 먹으면 쉽게 포만감을 느끼게 돼, 체중감량에 큰 도움이 될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2015년 9월 ‘환경과학기술’에 공개했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의 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
배양액
은 60일 동안 100mg의 PS 조각을 7.4mg 분해했다(doi:10.1021/acs.est.5b02663).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이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다양한 곤충이 존재할 수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일어나고 있는지 신속하게 알아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예컨대 최 교수팀이 준 로봇이
배양액
속을 떠다녀서 줄기세포를 넣기 어려운 상황을 유 교수팀에서 빨리 공유하지 않았다면, 최 교수팀은 그 사실을 놓친 채 다음 단계 연구를 하고 있었을 수 있다. 유 교수는 “연구 진행 상황과 의견을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연구원팀은 줄기세포를 이용해서 만든 장과 간, 심장 등의 생체기관(오가노이드) 사이에
배양액
이 흐르도록 해주는 장치를 고안했다. 마치 인체에서 각 기관이 혈액을 매개체로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실험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예컨대 유효성과 독성을 확인하려는 화학물질을 주입한 뒤 장관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전구체인 아르테미신산을 만드는 ‘합성효모’ 제작에 성공했다.2) 합성효모는
배양액
1L에 115mg의 아르테미신산을 생산했다. 이후 2014년 프랑스 제약회사 사노피는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받아 반합성 아르테미신산(SSA)을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여기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는 88쪽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바로 옮겼다. 현미경 앞에 앉은 이승훈 연구사는 플라스크를 조심스럽게 흔들면서
배양액
안을 유심히 들여다 봤다. 간간히 미세한 스포이드를 이용해 무언가를 다른 용기에 옮겨 넣었다. “건강하고 딱 알맞게 성숙된 난자를 육안으로 고르는 겁니다. 완전한 구 모양으로 두께가 적당한 걸로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