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
d라이브러리
"
방대한
"(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자동화 로봇 망원경들이 수백만, 수천만 개가 넘는 은하를 관측합니다. 현대 천문학은
방대한
관측 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사이언스로 진화했습니다. 저 역시 논문 한 편에서 은하 1만 여 개를, 또 다른 논문에서는 은하 3만여 개를 분석했습니다. Q. 은하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대중과도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배양 접시에 키운 뇌세포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해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학습시켰다.” 사이버펑크 SF소설의 도입부가 아니다. 2022년 12월, 국제학술지 ‘뉴런’에 실제로 발표된 연구다. 과학자들은 어떻게 뇌세포에게 게임을 학습시켰을까. “저희가 한 일은 뇌세포가 ‘퐁(Pong)’이라는 게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생명체가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는 신호를 감지했다고 발표했어. AI가 천체에서 발생한
방대한
양의 신호를 분석한 결과지. Q. 연구원들은 왜 AI에게 분석을 맡겼어? 전파망원경의 수신기는 매우 민감해 온갖 신호를 받아들여. 우주의 천체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전파도 받고, 인간이 사용하는 ... ...
[Data Math] 오스카 수상 예측 비결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학생이던 벤은 본인이 직접 해보기로 결심했다. 한 달 내내 도서관에 출석하며
방대한
자료를 모아 오스카 수상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첫 시도치고 꽤 성공적인 결과가 나왔다. 20개 중 15개 부문에서 예측이 들어맞은 것이다. 2017년과 2021년에는 단 하나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적중했다. 올해는 ... ...
생성형 AI가 그린 그림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2019년 저작권법을 개정해 AI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은 저작권 적용의 예외로 정했다. 한국은 일본과 비슷하게 저작권법 개정안을 만들어서 발의된 상태지만 아직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았다. 유럽의회도 2019년 텍스트 데이터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데이터 센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챗GPT 같은 AI 모델도 구축을 위해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와 연산을 필요로 했다. 손에 들고 다니는 가벼운 인터넷 세상의 뒤에, 실로 어마어마한 물질적 기반이 숨겨져 작동하는 것이다. 데이터 센터 탄소발자국, 비행기 넘어서다 매해 데이터가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NASA는 전자에 속한다. STEPI의 정책연구보고서는 “다분야 사업을 전개하는 국가의 경우
방대한
우주 관련 사업에 있어서 부처 간의 이견을 조정하고 비대해지는 조직을 효율화하기 위해 관리 감독에 대한 핵심 결정을 내리는 조직의 역할과 형태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은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급속도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생태학 연구자들은 조사하기 힘든 위험하고
방대한
지역이나 찾기 힘든 희귀종을 찾을 때 eDNA 기술을 활용한다. 2018년, 미국지질조사국(USGS) 과학자들은 바닷물에서 멸종위기종인 수생 포유류 매너티가 남긴 eDNA를 탐지하는 방법을 개발해 미국 플로리다와 ... ...
[JOB터뷰] 문학이 과학을 만나는 순간 SF작가 천선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해야 합니다” Q 은 분량이 376쪽이나 되는 두꺼운 책입니다. 이처럼
방대한
분량의 소설을 쓸 때 본인만의 비법이 따로 있나요?소설 쓰기의 전략은 다름 아닌 ‘완성’이에요. 다 쓰기도 전에 이 작품을 사람들이 좋아할까 혹은 별로라고 느낄까 같은 평가는 하지 않아야 해요. 소설은 ... ...
[과학뉴스] 플랑크톤 3차원으로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웨덴 예테보리대 연구팀이 크기가 수백분의 1mm에 불과한 플랑크톤의 움직임을 3차원(3D)으로 관찰할 수 있는 홀로그램 현미경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디지털현미경에 인공지능(AI) 분석 기술을 적용해 개별 미세 플랑크톤을 관찰하는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이라이프’ 11월 1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