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욕
d라이브러리
"
밥맛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교배시킨다. 다른 품종의 꽃가루를 암술머리에 묻힌다는 말이다. 이를 통해 얻은 자손 중
밥맛
있고 수확량 많은 새로운 품종을 골라낸다. 이 방법으로는 같은 종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를 옮길 수 있을 뿐 다른 종이 갖는 좋은 형질을 이식시키지 못한다.유전공학적으로 어떻게 다른 종의 유전자를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번 달에는 봄을 닮은 아름다운 마음으로 쓴 책을 소개한다.꽃이 전하는 계절봄이 오면
밥맛
이 없다고 하는 사람도 냉이국 한그릇이면 잃었던 입맛을 되찾는다. 어린 시절 불렀던 동요에도 등장하는 달래, 냉이, 씀바귀. 하지만 이 봄나물들을 구별할 수 있는 이들이 몇이나 될까. 전국의 산야에 ... ...
① 애기장대 프로젝트 완료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갖게 하는 유전자(gai)가 애기장대에서 분석됐고, 이 유전자를
밥맛
이 좋은 벼에 도입하면
밥맛
이 유지되면서 통일벼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품종개량이 가능하다.돌연변이체를 얻는 것이 쉽고, 그로부터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이 편한 애기장대가 식물게놈프로젝트의 첫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 ...
생활속의 반도체 마이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해보다 불꽃 튀기는 경쟁이 벌어졌다. LG전자는 전자유도 가열기술을 이용해 전통 가마솥
밥맛
을 재현하고, 백미 현미 잡곡 등 미곡의 상태에 따라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전자밥솥을 내놓았다. 동양매직은 뉴로퍼지센서를 장착해 밥 솥 내부의 수온 및 주위 온도를 감지하고 최적의 열량을 ... ...
쌀, 아미로스 성분 적을수록 찰기 많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찰기가 더 많은 셈인데, 찰기가 많은 찹쌀은 아미로스가 전혀 들어 있지 않다. 그러나
밥맛
의 차이를 구성성분만 가지고는 설명하기가 어렵다. 같은 자포니카라고 해도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일품'이나 '추청'이 미국산 자포니카인 '칼로스'보다 우리 입맛에 맞는다는 말을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형태(일반미 정부미)에 따라 가열하는 패턴을 달리한(뜸들이는 방법 등) 퍼지 밥솥은
밥맛
을 돋우는데 탁월한 솜씨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에서는 80년대부터 퍼지열풍이 불어 90년대 초에는 퍼지가 약방의 감초처럼 사용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퍼지이론 소개는 다소 늦어 90년대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인기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화성벼 진미벼 일품벼 등이 아키바레의
밥맛
을 훨씬 능가하는 좋은 쌀로 인기가 매우 높다.또 벼에 많이 발생하는 주요 병과 해충에 모두 강한 볍씨를 육성하여 농약사용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도 주요한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타이충 재래 1호를 교잡하는 3원 교잡방법으로 1971년 통일벼를 육성하게 되었다. 지금은
밥맛
좋은 쌀과 쌀의 과잉생산에 밀려 보기가 힘들어진 통일벼와 그 자매 품종들, 밀양 23호 한강찰벼 등 수많은 품종들이 과거 처참했던 보릿고개를 해결해 주었다. 통일벼가 우리 민족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기호에 맞는 양질미 공급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어떤 종류의 품종으로 밥을 짓더라도
밥맛
을 돋우는 취반기를 개발중에 있다.둘째는 쌀가공식품의 다양한 개발이다. 쌀 가공식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밀가루와 같은 중간소재 형태의 제품이 생산되어야 가공식품회사와 ... ...
제염작업이 성패를 좌우 서해안 간척지의 쌀농사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맛있고 질좋은 계화미 있음'이라고 써붙인 쌀집도 눈에 띈다. 기름지고 찰지다거나
밥맛
이 좋다는 게 계화미에 대한 평가들인 것 같다.이 계화미는 다름아닌 계화도 간척지에서 생산되는 쌀. 바다를 막아 조성한 넓은 간척지에서 품질좋은 쌀이 대량생산된다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큰 이득이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