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7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로봇에는 이런 뎁스 카메라를 끄고 주행하는 ‘블라인드 모드’가 있다. 로봇이 실제로
발
을 디뎌가며 땅에 반응해 구부러지는 관절, 즉 모터의 각도를 파악해 현재 자세와 주변 장애물을 파악하는 모드다. 이 책임연구원은 비전 60이 계단을 걸어 올라가도록 시연하며 “사실상 눈을 감고 계단을 ... ...
[미술] 필자미상 해룡도, 조선 후기....청룡, 걱정 없이 노닐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마리용이 여의주를 갖고 놀고 있다. 황룡의
발
아래 출렁이는 파도가 그림의 역동성을 강조한다. 이 그림이 그려진 19세기 조선에서 쌍룡이 여의주를 갖고 노는 그림은 왕실의 상징물에 주로 활용됐다. 교룡기나 경복궁 근정전어좌위천장등이 그 예다. 왕의 위엄을 나타내듯이 그림이 붙은 족자의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펫보험 활성화를 위해 보험 가입 등의 절차를 간소화하고 새로운 보험 상품 개
발
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농식품부는 펫보험 활성화에 필요한 반려동물 개체식별 강화를 위해 생체인식정보를 활용한 동물등록 의무화를 검토합니다. 임 대표는 “회사 비전인 ‘유기동물 없는 세상 만들기’의 첫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함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고민까지 폭넓게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그 큰 그림을 한
발
앞서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동아 독자들께 가장 먼저 보여드립니다. 여러분이 10년 뒤 이번 호를 다시 들춰보고 지금보다 더 놀라기를 바라봅니다. ‘아, 저때부터 현실이 SF를 앞질렀지!’ 하면서요 ... ...
새로운 로봇 등장 New bot in town!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의
발
은 사람의
발
처럼
발
바닥과
발
가락 부분이 구분돼 있다. 지면이
발
에 가하는 힘과
발
에 있는 모터의 돌림힘을 감지해 지면의 형태를 파악한다. 자유도(DOF勫egrees of Freedom)물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독립된 변수의 수.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물체의 자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우주언어인류학적 데이터’를 꼽았습니다. ‘바다를 위한 합성 노래’는 흰수염고래의
발
성음과 인간의 음악을 AI로 합성해 만든 노래입니다. 원 작가는 “해당 작품을 통해 고래를 넘어 다른 생명과의 소통에 대해 진지하게 관심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죠. 원 작가는 “외계인에게 ‘우리도 이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교수는 “대국민적인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전국민이 AI와 친숙해져야, 앞으로 더욱
발
전할 생성 AI 시대 속에서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하나입니다. 둥글게 형성되는 무지개 한가운데에 관찰자인 사람의 그림자가 비치는 걸
발
견할 수도 있습니다. 비행기에서 목격한다면 관찰자가 타고 있는 비행기의 그림자가 비칩니다. 이는 브로켄 현상이 생기는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브로켄 현상이 생길 때 빛은 관찰자의 등 뒤쪽에서 들어온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이 같은 동물의 걸음걸이를 왜 이렇게 공들여서 연구하는 걸까? 물론 걸음걸이에서
발
견할 수 있는 수학적인 규칙 자체도 아름답지만, 그 이유는 바로 안전하게 걸어 다니는 로봇을 만들기 위해서다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해이다. 이러한 법칙은 과학자들이 둘러앉아 토론하고 논쟁을 펼치는 과정을 통해
발
전돼 왔다. 그래서 ‘허블 1929’ 공간은 동료 과학자들과 토론을 즐겨 한 허블에게서 영감을 받아 응접실 혹은 살롱처럼 꾸며졌다. 푸른 새벽하늘을 연상시키는 색감이 돋보이는 벽면에는 과학자들의 명언을 품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