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민속"(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밝혀졌답니다. 당시 향신료와 약재, 금속공예품, 중국도자기 등이 함께 발굴됐어요.어촌민속실에서는 조선시대 실학자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요. 자산어보는 우리나라 해양 생물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선박사실에서 우리나라 전통 배인 ... ...
- 원자력안전 1박2일 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수 있는 여행 코스도 많아요. 조선시대 전통문화와 자연을 그대로 간직한 우리나라 최대 민속마을인 양동마을을 둘러보기도 했어요. 양동마을은 국보나 보물과 같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답니다. 또 신라 신문왕이 세운 절인 경주 감은사지와 바다에 있는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친구들, 오늘 누런 황금똥은 시원하게 누었니? 누가 더럽게 자기가 눈 똥을 보냐고? 만약 지금까지 똥을 못 본 친구들이 있다면 앞으로 꼭 자기 똥을 확인하도록 해! 똥의 ... 키우는 거름이 된답니다.명예기자 : 김은강(파주 지산초 5), 이해인(의정부 새말초 4)도움 : 국립어린이민속박물관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각국은 자국이 자랑하는 음악을 차례로 마치 경쟁하듯이 들려줬다. 폴란드 팀이 자국의 민속음악을 차용한 쇼팽의 피아노곡 ‘폴로네즈’를 들려주자, 미국은 밥 딜런의 포크 음악을 틀었다. 한국은 이제는 세계의 대중음악이 된 세련된 케이팝 음악을 들려주며 흥을 더했다.눈에 보이지 않는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궁금증을 해결하러 아빠, 엄마가 어렸을 적에 하던 놀이와 즐겨 먹던 먹거리가 있는 한국민속촌으로 달려가 봤어요~! 70, 80년대 추억 속으로, 출발~!추억의 아지트 문방구 만화방예쁘다! 종이 위에 예쁜 인형과 옷이 그려져 있어. 이게 엄마가 어렸을 때 갖고 놀던 종이인형이구나~!이것 봐! 멋지고 ... ...
- 다윈이 없었다면 진화론도 없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뿌리박고 있었기 때문이다(남자가 아닐 가능성도 높다). 에드워드 제너와 지석영은 민속 의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처음으로 기록에 남긴 지식인일 뿐이다.그런데 왜 우리는 ‘종두법’이라고 하면 에드워드 제너와 지석영의 이름만 기억할까? 평범한 보통 사람들은 생각하지 못한 혁신을 마치 ...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능력을 인정받으면 프리랜서로 활동하기도 한다.관련학과고고학과, 동양화과, 문화재과, 민속학과, 박물관과, 사학과, 서양화과, 예술학과, 인류학과, 조소학과, 회화학과 등미니 인터뷰과학을 전공하셨는데, 큐레이터가 된 계기가 있나요?저는 공과대학을 다녔지만, 동아리 활동을 통해 미술에 대한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중계가 한창인 TV에서였다. “뿌~, 뿌~,”하는 시끄러운 소리가 뭔가 하고 봤더니, 그들의 민속 악기라는 ‘부부젤라’랬다. 귀가 괴로워 아주 혼이 났다. 그보다, 남아공 선수들이 걱정됐다. 간절한 월드컵인데, 저렇게 시끄러운 코끼리 소리를?하지만 ‘배명진 교수의 소리로 읽는 세상’을 읽고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드디어 점심시간이야! 아침부터 이 시간을 얼마나 기다렸는지 몰라.오늘 점심시간은 좀 특별하거든. 급식실을 공사하는 바람에 우리 반 친구들이 모두 도시락을 싸 오기로 한 거지. 우리 반엔 다문화가정 친구들이 몇 명 있어서, 색다른 도시락 반찬이 있을게 분명하다고. 내 반찬과는 뭐가 다를까, ...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볼 때 어마어마한 길이다.특이한 점은 이 돌각담의 폭이다. 2000년대 초 문화재청이 전통 민속마을로 지정하기 전 돌각담의 폭은 사람 키만큼 두터웠다. 이 폭은 마을이 정비되면서 갈수록 줄어들었다. 지금도 맨 윗부분이 80~90cm에 달할 정도로 두껍다. 이 지역에 얼마나 많은 돌이 있었는지 보여준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