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바일"(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으로 만나는 놀러와 도토리 슈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본책 72쪽과 함께 보세요! 도토리 슈퍼 애플리케이션(앱)이라니!드디어 모바일 쇼핑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 도토리 슈퍼.삼총사를 도와 모바일 쇼핑몰 개장을 준비해볼까요?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10년 만에 사라진 ‘게임 셧다운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요즘은 게임을 PC보다 모바일에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게임 셧다운제는 모바일 게임엔 적용이 되지 않아 이런 현실에서 사실상 제도가 무의미하다는 지적도 있었고요. 결국 여러 논란 끝에 게임 셧다운제는 올해부터 폐지되었어요. 하지만 게임 셧다운제가 폐지되었다는 것이 곧 게임 ... ...
- 2023년 알림... 비밀번호 없는 세상이 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2018년엔 웹에서 쓸 수 있는 기술 표준인 FIDO 2.0도 공개했습니다. FIDO 2.0이 나오면서 모바일 기기에서만 가능했던 FIDO 인증이 웹 브라우저를 쓰는 다양한 기기에서 가능해졌죠.덕분에 2014년 2월에 삼성전자와 페이팔이 최초로 결과물을 냈습니다. 갤럭시 S5 지문인식으로 페이팔을 쓸 수 있도록 한 ... ...
- 호기심의 끝은 파멸... 청소년 마약중독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최근에는 마약 판매가 온라인으로 확대되면서 일반인들도 쉽게 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활용도가 높을수록 마약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진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청소년 마약류사범 중 대다수가 소셜미디어(SNS),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마약을 구입했다.이 센터장은 “코로나19로 ... ...
- [수학뉴스] 휴대전화 데이터, 지원 사각지대를 막는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큰 사람들을 휴대전화 데이터를 이용해 찾았습니다. 국제 전화 건수, 데이터 사용량, 모바일 거래 금액, 잔액 등을 분석해 기존의 조사 자료와 휴대전화 데이터 자료에서 보여 주는 빈곤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확인한 다음, 빈곤을 예측하는 기계 학습을 진행했지요. 이처럼 AI로 예측한 결과, 전화와 ... ...
- [이달의 아이템] 마음을 전하는 작지만 큰 감동, 선물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선물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준비했다. 수제품을 만드는 작가들과 직접 만날 수 있는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앱) ‘아이디어스’다. 공예품부터 생활용품, 음식까지 다양한 카테고리의 상품을 한데 모아볼 수 있다. 선물을 직접 만들고 싶은 이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마련돼 있다. ... ...
- 세 번째 방_이게 된다고? 불가능한 방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퍼즐’ 속에서는 가능하답니다. 이 그림은 영국의 게임회사 어스투 게임즈가 만든 모바일 퍼즐 게임 ‘모뉴먼트 밸리’의 화면이에요. 불가사의한 건물 속 구조물을 움직여 주인공이 건물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게임이지요. 두 개의 길을 90˚씩 돌려보세요. 높이가 다르던 길➊과 길➋가 감쪽같이 ... ...
- [인터뷰] “다음 세대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당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PC 사용자를 막 넘어선 시기였어요. 전력을 사용하는 패턴이 모바일화됐으니 공급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죠. 친환경적이면서도 소형화된 공급방식을 고민한 결과가 청계천 스마트 충전소였어요.”청계천 스마트 충전소는 미국의 CNN, 중국의 CCTV에 ... ...
- [에디터노트] 이달의 과학동아 사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잡지 받고 ‘이게 뭥?’ 하셨죠? 판형이 다릅니다. 세로로 긴 판형에 담아 지면 외에 모바일 기기에서도 쉽게 볼 수 있게 했습니다. 짧고 감각적인 글과 색다른 일러스트를 적용해 다른 지면에서 볼 수 없는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2 이지 사이언스의 가장 큰 차별점은 파격적인 제작 ... ...
- [THE JAMES DYSON AWARD] 세상을 바꿀 젊은 발명가들의 이야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무게를 줄이고,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하는 등 몇 차례 개선을 거쳤다. 측정된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와 연동해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해 기계학습을 적용하면서 정확도도 개선했다. 이 모든 과정은 환자와 임상의들의 의견을 받으면서 진행했다. 사용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