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함지
카아드
기차표
명첩
d라이브러리
"
명함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쓰면 잘 안 써질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 코팅이 돼 있는(따라서 모세관힘이 미약한)
명함
위에 메모를 하려고 해도 글씨가 잘 안 써진다.펜촉을 빨리 움직이면 더 얇은 선이 나오는 것도 모세관힘 사이의 동적평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잉크가 펜촉에서 종이로 이동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빨리 ...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마음이 풀리나보다. 말을 하기 시작한다. 자기는 뱀을 연구하는 연구원이란다.
명함
을 보니 그도 박사다. 그곳에서 자기가 연구하는 뱀 얘기를 한참 하더니, 자기 일을 좋아하는 보통의 학자가 다 그렇듯 입에 거품을 물기 시작한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물이 뱀이라는데 듣는 우리는 오싹하다.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차림의 한 남자가 은행으로 들어섰다. 남자는 ‘도쿄시 방역과 의사’라는 직함이 찍힌
명함
을 내밀며 근처에서 강력한 전염성 이질이 발생해 시민들에게 이질 예방약을 나눠주는 중이라며 은행원들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았다. 이들 모두에게 약을 나눠준 뒤 한꺼번에 약을 먹게 했다. 잠시 후 16명의 ... ...
Part 3. 정사각형 정보 상자, QR코드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차원 업그레이드 된, 2차원 QR코드QR코드는 스마트폰과 함께 등장해 이제는 각종 물건이나
명함
, 광고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정사각형을 작은 정사각형으로 나눠 검정색이 칠해진 모양으로 되어 있는 QR코드는 기존에 쓰던 바코드보다 한 차원 높은 2차원 코드다.바코드는 마트에서 물건 값을 ... ...
손바닥 안의 첨단 기술,
명함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국 CNN의 칼럼니스트 캐롤라인 왝슬러는 “만약 휴대전화를 쓸 수 없게 돼 디지털로
명함
을 교환할 수 없으면 어떻게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바로 다음과 같이 답했다. “종이에 연락처를 적어서 건네주면 된다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러한 실험실 이미지가 떠오른다. 그러나 화학을 이용해 신문 속 사진을 움직이게 하고,
명함
처럼 얇은 전지를 만들 수 있다면? 영화 속 이야기 같지만, 서울대 재료공학부 박수영 교수의 분자광전자연구실에서는 가능한 이야기다.“유기화학은 탄소를 기반으로 한 화학입니다. 중고등학교에서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큼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많지요. 옴니아2에는
명함
인식 소프트웨어가 내장돼 있죠.
명함
을 받자마자 주소록 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아이폰은 한번에 다양한 기능을 즐기는 멀티태스킹이 지원되지 않으니 불편하기 짝이 없소.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써야 하지 않겠소?아이폰맨 : 답답한 ... ...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나를 가장 잘 표현하고 또 내가 하는 일을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명함
입니다.”
명함
을 무늬처럼 채우고 있는 알갱이들은 모양도 독특하고 색깔도 화려한 나노입자들. 모두 연구단에서 개발한 나노입자들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연구단이 만든 나노입자 중에서는 정육면체나 구처럼 간단한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사진을 이용했고, 말년에는 사진을 넣은
명함
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건넸다. 다윈의 이런
명함
용 사진은 성스러운 과학자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김창배 교수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동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세계의 새 둥지’라는 책을 쓴 스즈끼 마모루 같은 학자는 ‘새 둥지 전문가’라는
명함
을 갖고 활동할 정도다.새 둥지는 찾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연구하는 사람이 적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새 둥지는 새의 사생활을 모두 보여주는 귀중한 연구 대상이다. 지금까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