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립
매축
d라이브러리
"
매몰
"(으)로 총 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흔적을 찾기 위해 기지 안팎의 수질과 토양을 조사하고 있다. 증언에 따른 고엽제
매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지 내부에 묻혔다는 드럼통을 자력탐지레이더로 찾고 있다.고엽제에 있는 다이옥신은 안정한 물질이어서 아주 천천히 분해된다. 여러 환경 중 지표면에서 가장 빨리 분해되는데,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겨울 구제역으로 총 350만 마리의 소와 돼지가, AI로 닭과 오리 623만 마리가 살처분되거나
매몰
됐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사상 최대의 피해를 초래한 구제역의 확산 원인을 이동제한 조치 같은 초동방역이 실패한 탓으로 진단 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네덜란드에서 실시하는 ‘일시정지’ 제도를 ... ...
Inrto. 나는 가축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다시 발생했다. 지난 구제역과 AI로 전국에서 1000만 마리에 가까운 가축이 사라졌지만
매몰
작업에 관여한 사람을 제외하곤 가축의 죽음을 직접 본 사람은 거의 없다. 가축은 1만 2000년 전부터 우리 곁에 살며 인간에게 많은 것을 줬다. 사람에게 필요한 의식주 모두를 줬을 뿐만 아니라 정을 나누며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다. 이 연구원은 “현재 검토하고 있는 방법들 가운데에는 반응벽 방식이 이번 구제역
매몰
지에서 발생할지 모를 지하수 오염을 막을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피해가 큰데, 사람에게 유익한 광합성 세균이나 유산균 등을 뜻하는 유용 미생물로 가축
매몰
지역의 악취를 애고 2차 오염을 막기도 합니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미생물이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뿐 아니라 우리 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을 보면, 미생물이야말로 반전의 최고봉이 아닐까요?"천종식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뭄으로 시달리고 있습니다. 또 한국은 올겨울 구제역으로 300만 마리가 넘는 가축을
매몰
하는 최악의 사태를 겪고 있습니다.농업의 역사가 1만 년도 채 안 된 ‘초보 농사꾼’인 사람들이 당황하는 모습이 역력하군요. 그래서 농사를 짓는 동물들의 대표가 모인 이 자리에서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 큰 폐기물을 처리하기 때문에 무리가 없다.서울대 농생명대 이군택 교수는 “
매몰
작업이 진행된 시점을 생각해 볼 때 지금이 침출수를 뽑아낼 적절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물론 문제도 있다. 박 교수는 “현장에서는 제대로 관리가 안 돼 기껏 모은 침출수를 외부 흙구덩이에 모으기도 하고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운데 4%인 13만 6000여 마리가
매몰
됐다. 돼지는 990만여 마리 가운데 21%인 206만여 마리가
매몰
됐다. 다섯 마리 가운데 한 마리 꼴이다. 다행히 전남과 제주는 아직 구제역이 침투하지 않았고 전북은 돼지농장 2곳, 경남도 돼지농장 한 곳만 구제역이 확인됐다. 우리나라 축산업의 붕괴를 막기 위해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에너지가 없을 때보다 훨씬 빨리 우리 몸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구조된 광부들은
매몰
된 지하에 샤워를 할 수도 있을 만큼 물이 풍부했다고 전하고 있다. 습도가 높은 지하 환경이었기 때문에 굴착기로 땅을 파면 곧 지하수가 고였다고 한다. 또 한 가지 꼭 필요한 것은 소금이다. 만약 음식을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일본까지 날아가 5cm정도 쌓여 있다면 백두산 주변에는 이탈리아 폼페이처럼 화산재에
매몰
된 곳도 있지 않을까. 폼페이는 베수비오 화산의 산사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도시로, 79년 8월 대폭발이 일어났을 때 2~3m나 화산재로 뒤덮였다. 다행히 백두산 주변은 산지가 높아 인구밀도가 낮다. 폭발적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