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그네슘"(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섞어 만든 하이드로겔을 3D 나노-마이크로 프린팅의 재료로 사용했다. 이 재료는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2가 양이온이나 염산과 만나면 탈수 작용이 발생해 수축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다운사이징에 최적화된 재료인 셈이다. 연구팀은 이 하이드로겔에 ‘양광자석판인쇄기법(Two-photon Lithography)’을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람마다 인지하는 물맛도 다르다. 물맛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은 마그네슘이다. 마그네슘이 많을수록 건강에는 좋지만, 그만큼 맛이 쓰게 느껴진다. 황산이온(SO42-)이 많아도 씁쓸해진다. 칼슘과 칼륨, 실리카 같은 성분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물맛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먹는샘물에는 ... ...
- 달나라 여행 광산 투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그 결과 달에서 가져온 암석은 산소 40%, 실리콘 20%, 철 12%, 칼슘 8.5%, 알루미늄 7.3%, 마그네슘 4.8%, 타이타늄 4.5% 등으로 구성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또 지구에서 찾기 힘든 헬륨-3과 헬륨-4도 발견됐지요. 이중 과학자들은 헬륨-3에 주목하고 있어요. 헬륨-3은 원자력 발전 과정 중 핵융합 반응에 ... ...
- 한 달 먼저 뽑아 본 2018년 10대 과학 뉴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억4000만 년 전)부터 신생대(6500만 년 전~현재)까지 전 지질시대에 걸쳐 형성돼 철, 아연, 마그네슘 광상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지만 지질조사나 탐사, 채광, 선광, 제련 등 기술에서는 다소 떨어져 남북 협력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백두산이 분화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막대한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합니다. 바닷물의 염도(3.5% 전후, 염류의 비율은 염화나트륨 77.7%, 염화마그네슘 10.8%, 황산마그네슘 4.8%, 황산칼슘 3.7%, 황산칼륨 2.5%)가 배추절임에 최적이기 때문입니다. 배추가 절여지는 동안 김치에 넣을 양념을 만듭니다. 고춧가루와 액젓 등 기본 재료 외에도 지역에 따라 해산물(명태, 오징어, ... ...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탄소, 소금기를 머금은 종이를 이용해 박막형 전지를 제작했다. 박막형 전지는 마그네슘과 탄소 사이의 전위차로 전력을 만드는데, 전지에 물을 첨가하면 종이가 물에 젖으면서 소금물이 돼 전기를 흘린다. 또 이 전지는 잘 휘어져 테이프, 스티커 등 여러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기존 전지와 달리 ... ...
- [Issue] 그 돌 제가 한번 먹어보겠습니다, 먹는 광물 찾아 포항 광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쓰인다. 이 광물은 운모처럼 층상구조를 이뤄 층과 층 사이에 나트륨,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양이온이 들어 있다. 또 층상구조로 인해 1g 당 비표면적이 800m²로 어마어마하게 넓다. 벤토나이트와 제올라이트는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한다. 벤토나이트는 철강, 자동차, 토목 등의 분야에서 연간 1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벌에 쏘인 자리에 암모니아수를 바르는 일, 위액이 지나치게 많이 분비될 때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등 염기성을 띠는) 제산제를 먹는 일 등은 모두 중화반응에 해당한다. 중화반응이란 산의 수소 이온(H+)과 염기의 수산화 이온(OH-)이 1대 1의 비율로 반응해 물과 열이 발생하는 반응이다.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전지를 고안해 본선에 진출했다. 김혜린 양(창원과학고 3학년)은 “리튬 대신 탄소와 마그네슘, 물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도록 설계해 친환경적”이라며 “콘서트 등 밤에 일정 시간 전기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다”고 말했다. 노력과 정성이 돋보이는 팀도 있었다. 식물의 뿌리에 살면서 생장을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질화갈륨 층을 형성하기 위한 연구를 꾸준히 수행했습니다. 그 결과 1989년 아연(Zn)이나 마그네슘(Mg)이 도핑된 질화갈륨 층에 저에너지 전자빔을 쪼여주는 방법으로 p형 질화갈륨 반도체층을 세계 최초로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질화갈륨 기반 청색 LED의 실용화에 한 발짝 다가서는 토대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