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낙방
탈락
불합격
유급
낙지
장어
해초자
d라이브러리
"
낙제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뷰티풀 마인드 vs 굿 윌 헌팅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양성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수학과 과학 이외의 모든 과목에서
낙제
점수를 받은 아인슈타인이 우리나라에서 태어났다면 대학에 진학해 물리학을 배울 기회를 얻을 수 있었을까.주인공의 모습괴짜 학생 vs 대학의 청소부 ▶▶▶ 영화 뷰티풀 마인드는 프린스턴대의 낡은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작품이군. 친구들도 놀라는 걸 보니 A+는 문제없겠어.며칠 후 H양은 제출한 과제물에 대해
낙제
점을 받는다. 이유인즉 다른 사람의 작품을 베꼈다는 것. 이럴 수가! 교수님은 그 비밀을 어떻게 알아낸 것일까.그야말로 온통 디지털 저작물이 넘쳐나는 세상이다. 하지만 정작 그 ‘진짜’ 주인을 찾기란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중학교 때는 공부는 뒷전이고 운동만 했다고 한다. 당연히 끝에서 몇등을 할 정도로
낙제
점을 받았고 부모님이 학교에 불려갔다.그러다가 중학교 2학년 여름방학 때 당시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승진이형을 쫓아 한달 동안 절로 들어갔다. 물론 공부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한달만 공부하고 ... ...
나비로 환생한 석주명의 꿈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방학 때 신나게 놀 계획을 세우던 석주명이 받은 성적은 반에서 꼴찌였고 빨갛게
낙제
표시가 된 과목도 여럿이었다. 그는 성적표를 앞에 두고 방탕한 자신을 반성하며 밤을 뜬눈으로 새웠다. 다음날부터 석주명은 완전히 딴사람으로 변했다. 친구들이 고향으로 모두 떠난 텅빈 하숙집에서 그는 ... ...
플라스틱소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처리하라는 거였다. 길동은 “태양에 날려보내 태양의 에너지원으로 쓴다”라고 했다가
낙제
점수를 받아야 했다. 상상력이 전혀 없대나. 반면 꺽정은 최고점수를 받았다.“학교에 보냈냐?”“아직. 완전한지 확인을 덜 했거든.”“맞아. 숙제는 철저하게 해야 돼. 애들은 그걸 잘 모른단 말이야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생긴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날아가서 징기스칸 나폴레옹 프로이드 등을 데려와
낙제
의 위기를 모면한다는 내용이다. 만일 그런 장치가 정말로 있어 아리스토텔레스와 갈릴레이를 같은 자리에 불러놓고 왜 연필을 책상 위에 굴리면 잠시 후 멈추게 되는지 설명하라고 한다면 뭐라고 이야기할까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낮았고 수학은 남들이 풀지 않는 자기만의 해법, 즉 기하학의 직감에 의존하여 겨우
낙제
점수를 면했다.IBM연구소에 근무하던 그는 통신 상의 전송오차를 해결하는 문제를 풀다가 19세기의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칸토어 집합*을 생각해냈다. 이를 이용해 통신오차의 분포를 기술하는 방법을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다니기 시작했는데 처음에는 그런대로 잘 해냈다. 그러나 점점 뒤처져서 마침내는
낙제
를 하게 되었다. 14세가 되면서 그는 르장드르(Legendre)가 쓴 수학교과서로 공부를 시작했다. 그는 수학에 매우 흥미를 느끼고 그밖의 모든 것에 무관심해졌다. 16세에 프랑스의유명한 에콜 폴리테크닉(Ecole ... ...
1 대기권을 뚫어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설계했기 때문에 아음속비행시의 연료소비율이나 이착륙시의 공항소음 등에서
낙제
점을 받았다.이제 새로이 구상하고 있는 차세대 초음속 여객기는 콩코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개선된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고속공력형상에서 양항비를 높이고 내열재료의 발전에 따라 재래형 항공기 정도의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정부의 관리능력과 일관된 국가과학기술계획이다. 이점에서 정부정책의 일관성은 '
낙제
점'이라는게 중론이다. 과학기술을 둘러싼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정책의 기조가 바뀌기 일쑤여서 정책의 융통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다.현재 대표적인 연구개발사업인 특정연구개발사업의 경우 6공들어 거의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