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탈락
불합격
유급
낙제
거절
사절
거부
d라이브러리
"
낙방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무관심해졌다. 16세에 프랑스의유명한 에콜 폴리테크닉(Ecole Polytechnique)에 응시했다가
낙방
하고 독자적으로 공부를 계속해 18세 때(1829년) 연분수에 관한 첫 논문을 썼다. 이때 프랑스 과학원에 발표할 중요한 논문을 당시의 유명한 수학자인 코시(Cauchy)에게 보냈는데, 코시가 잃어버렸다. 18세에 다시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열여섯에 취리히 공대에 지원했지만 현대어와 동식물학 시험성적이 나빠
낙방
한다. 독학으로 이 공부를 다시 하고 다음해에 입학한 아인슈타인은 여기서 H.민코브스키라는 수학자를 만난다. 이 민코브스키는 임종때 "상대성이론이 탄생하는 이때 죽다니 딱한 일이다"라고 탄식했다는 일화를 남긴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인가, KAIST학사과정에 지원할 것인가. 다행히 KAIST시험이 조금 일찍 치러지므로 KAIST에
낙방
하면 일반대학에 응시할 수 있다.그러나 이것은 '밑져도 본전'이 아니다. 현행 대학입시 학력고사 문제와 KAIST 학사과정 입시문제는 그 수준차가 현격하기 때문이다. 두마리 토끼를 좇다가는 한마리도 잡을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과학기술원에 무시험진학이 가능할 것으로 믿었다가 방침이 바뀌어 그후 대거
낙방
하는 사태(2백71명 지원, 1백16명 합격)까지 빚었던 것과는 달리 올해에는 상황이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수들이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된데다 졸업생 선배들이 과학기술원에 많이 진학했고 ... ...
어느 틈에 수학이 약학으로 바뀌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편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1987년 대학입시에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를 지원했으나
낙방
의 쓴 잔을 마시고 재수의 길을 걷게 됐다.눈치작전으로 지원했지만그로부터 1년을 다시 공부하는 동안 나의 생각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내가 교사가 되고자 하는 까닭이 참교육을 실천하겠다는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채 방황했고, 지난해말 과학기술원 입시에서 1백57명이 대거
낙방
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과기대 졸업생은 현재까지 45% 가량이 과학기술원을 포함 각 대학원에 진학했고 31%가 산업체에, 나머지는 유학과 연구소로 진로를 결정했다. 과학기술원 입시에 탈락한 사람중 일부는 ... ...
㈜터보테크 장흥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인기를 얻고 있는 학과여서 그냥 지원했다고 한다. 대학 3학년 때부터 준비했던 KAIST에
낙방
하자 모교의 대학원에 진학했지만 곧 재도전의 칼을 간다. 마침내 그 다음 해에 뜻을 이룬 그는 박송배교수를 지도교수로 맞게 된다.대체로 KAIST 출신들은 대학 연구소 등 비교적 위험부담이 적은 곳을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그런 상태로 보내면 2학기 때에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을 수밖에 없다. 특히 전기대학을
낙방
하고 후기대학에 입한 나의 경우, 대학생활에 흥미를 갖지 못하고 거의 한 학기를 허송세월만 했다. 이 상태가 계속 이어져 2학기에도 심적 방황을 끝맺지 못했다.그러다가 대학의 여러 모임에도 나가 보고 ... ...
선택과목은 어떻게 선택하고 공부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못 따게 돼요. 다른 과목들에 밀려 가사를 정리도 못하고 시험장에 가, 가사때문에
낙방
한 학생도 보았어요.유-맞습니다. 점수는 확실하게 따 놓을 수 있는 것부터 따 놓아야 해요. 다른 사람이 다 맞는 문제를 틀리면 합격은 영영 멀어지게 되지요.사-시험이 코앞에 다가 온 지금도 새로운 교재를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주었다. 일제는 한국인 학생들이 일본인 지원자보다 성적이 아무리 우수하다고 해도
낙방
시킬 구실을 얼마든지 만들어 냈다. 한국인학생의 사상적배경을 들먹거릴 수도 있고 면접시험이나 신체검사의 결과를 마음대로 편리한 방향으로 조작할 수도 있었다. 가장 간교한 방법은 한국인들의 성적을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