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괴짜
얼간이
별난 사람
진품
불구자
병신
기형아
d라이브러리
"
기인
"(으)로 총 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사라진 샤롱가! 어떻게 납치된 거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6호
용용에게서 빠져나왔습니다. 그리고 딱지를 가리키며 말했습니다. “저 사람이 이무
기인
샤롱가의 의상을 입은 용기가 대단해서 ‘엄지 척’을 해주려고 했단 말이에요!”“그, 그게 정말이야?”용용이 당황하며 물었습니다. 딱지가 용용을 한쪽으로 데리고 가서 말했습니다. “정말인 것 같아요. ... ...
[기획] 나는 건강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3호
체질량지수(BMI) = 체중(kg)÷신장(m)2 너무 뚱뚱해도, 너무 말라도 위험해!성장
기인
어린이와 청소년의 다이어트는 성인과 달라야 해요. 비만이 심해 건강을 위협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체중을 감량할 필요가 없어요. 체중이 더 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게 우선이지요. 매년 약 5㎝씩 키가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대형강입자충돌기(LHC)가 한창 건설되고 있었습니다. 페르미랩이 보유하고 있던 충돌
기인
테바트론(양성자·반양성자 충돌기)은 퇴역이 예고돼 있었죠. 페르미랩만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중성미자를 세계에서 가장 많이 만드는 가속기를 만들고 여러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극대기는 2025년쯤으로 유인 탐사를 시작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그 다음 태양 극대
기인
2030년대 중반 즈음이 유인 탐사에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80%는 밀도가 낮고 내부에 구멍이 많은 점으로 미뤄 먼지와 얼음으로 구성된 혜성에서
기인
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결과는 ‘지구 및 행성과학 저널’ 4월 15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epsl.2021.11679 ... ...
[긱블x과학동아] 패턴 따라 다른 소리 나는 '바코드 연주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화타에 빙의한 듯 인쇄회로기판을 슥 쳐다보곤 오실로스코프를 이리저리 대봅니다. “여
기인
것 같은데요.”오실로스코프 화면에는 굵게 물결이 그려져 있고, 중간중간 전압이 급격히 오르내리는 구간이 있습니다. 이 오르내리는 횟수나 간격이 바코드 패턴에 따라 달라졌습니다.정말 맞는지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과학적 ‘발견’으로 인정받기 위한 기준인 5 시그마(결과가 통계적 오차로부터
기인
했을 확률 350만분의 1)에는 못 미치지만 상당히 높은 신뢰도다.이번 연구에 참여한 김온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원은 “(뮤온 자기모멘트의 실험값과 이론값이 다른) 결과가 맞다면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이듬해 전곡리구석기유적관을 개관하고 제1회 전곡리구석기문화제를 개최했다. 구석
기인
의 생활을 유물 및 유적과 함께 체험하며 이해하는 이 축제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2011년에는 발굴 성과와 인류 진화에 대한 지식을 담아 전곡선사박물관을 개관하고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 국내에서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여
기인
거 같아요! 장미로 가득한 성!”개코 조수는 장미꽃이 가득한 성을 가리키며 말했어요. “깊은 산 속 인적 없는 곳에 이렇게 멋진 성이? 대체 야수 왕자는 뭐가 문제라는 거야?”땀을 뻘뻘 흘리며 뒤따라온 꿀록은 헉헉거리며 말했어요. “일단 들어가 봐요!”꿀록과 개코는 한참을 서서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많은 과학자는 단순히 생식과 관련된 생리 현상뿐만 아니라 생각의 차이도 뇌 차이에서
기인
한다는 걸 밝히고자 했다. 그렇게 지능과 연관성이 깊은 대뇌로 관심이 옮겨졌다.대뇌의 여러 부분 중 인종별, 성별 차이 연구에서 가장 관심을 받는 곳은 뇌량이다. 뇌량은 대뇌의 좌반구와 우반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