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계
극도
극치
한도
절정
정점
클라이맥스
d라이브러리
"
극한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리어]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더 강한 레이저는 원자에서 아주 빠른 속도로 벌어지는 현상을 관측하고 우주 초기의
극한
환경을 연구하는 등 현대 과학의 다양한 질문을 해결하는 데 활용된다. 이 같은 레이저 연구의 최전선을 보고 느끼는 과학동아 랩투어가 10월 27일 개최됐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독자 7명이 광주 북구에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달은 약 27.3일 동안 공전 및 자전을 해 낮과 밤이 14일을 주기로 번갈아 찾아온다.
극한
추위가 2주나 지속되는 것이다. 한없이 춥고 어두운 곳으로 탐사선을 보낸 이유는 자원 확보 때문이다. 달의 남극 꽁꽁 언 땅 아래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얼음 형태로 있을 것이란 추측이 많다. 한국의 다누리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가는 길에 D의 우람한 등짝도 한 대 때려주었다. 지구의 남극에서 자라는 식물과
극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에서 얻은 저온 저항성 유전자를 감자에 도입했다. 저온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감자는 핫 캡 안에서 야간의 저온을 며칠 동안 힘겹게 버텨 나갔다. 나는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심정으로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100경분의 1초) 과학을 개척한 과학자 3인에게 돌아갔다. 빛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시간을
극한
으로 단축하면 아주 빠르게 벌어지는 현상인 원자나 분자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앤 륄리에 스웨덴 룬드대 교수가 1987년 적외선 레이저를 불활성 기체에 투과시킬 때 ... ...
이유 2. 킬러문항의 수학 교육적 가치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2022학년도 수능 미적분 29번 문항도 교육부는 ‘삼각함수, 사인법칙 및 함수의
극한
이 결합돼 공교육에서 다루는 수준보다 다소 복잡한 형태의 함수를 다루고 있어 수험생의 심리적 부담을 유발할 수 있음’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고 교수에 따르면 계산 과정에서 실수할 수도 있지만 ... ...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양자전기역학 현상 중 하나인 비선형 컴프톤 산란이 중심 주제였습니다. 한 마디로
극한
의 전기장을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거죠. 남창희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님의 지도 아래 비선형 컴프톤 산란 실험에 3년간 매진한 결과, 박사 학위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박사 학위를 마무리하며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1호
5월 4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외 공동 연구팀은 거친 표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지네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의 ... 한계가 있었죠.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지네 로봇은 수색이나 구조, 화성 탐사 등
극한
환경에서 쓰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천문현상과 비슷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런 환경을 이용해 우주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 벌어지는 물리현상의 비밀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밖에도 레이저를 이용한 핵융합, 전자의 움직임 관찰 등 초강력 레이저의 활용분야는 무궁무진하다. 남창희 연구단장은 “과학 ... ...
[과학뉴스] 또다시 어긋난 뮤온 g-2 실험 결과 표준모형 너머 미지의 이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무엇인지 밝히는 과정이 앞으로 수년 내 마무리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IBS 액시온 및
극한
상호작용 연구단이 개발한 오차 개선 장치가 현재 페르미국립연구소에서 활약 중”이라고 말했다 ... ...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액체일까, 고체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파르딘 연구원의 논문은 유변학이라는 학문의 방법론을
극한
까지 적용하면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학문적 농담이다. 유변학의 관점에서 변수를 어떻게 측정하고 적용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고정관념과는 달리 고양이는 정말로 액체의 성질을 띨 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