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아
기근
공복
아사
고갈
기근기아
허기
d라이브러리
"
굶주림
"(으)로 총 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클럽의 힘이죠. 앞으로 더 많은 식물이 게놈 클럽에 들어오면 그만큼 더 많은 사람들을
굶주림
에서 구할 수 있을 거예요. 저는 우리 식물 게놈 클럽이 있어 아주 든든합니다. 우리는 동물 게놈 클럽돼지 아직 클럽 회원후보긴 하지만 질병 유전자 연구에 저를 빼면 섭섭합니다, 사회자님.사회자 아,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셀 수 없는 생명을 구해주었다. 비료와 농약의 발명은 농업혁명을 이룩해 인류의
굶주림
해결에 앞장섰으며, 20세기 후반에는 석유화학시대를 활짝 열었다. 합성수지와 합성섬유, 합성고무는 우리 생활 패턴을 완전히 바꾸며 고분자(플라스틱)시대를 열었다.화학의 합성 능력은 새로운 기능 소재 및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며칠째 쌀 한 톨 삼키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제 배고픈 건 알았지만, 누나의
굶주림
을 미처 돌보지 못했던 것이다.‘누나도 얼마나 배가 고플까? 인절미 생각이 얼마나 간절할까?’지오가 공주의 인절미 보따리를 생각해낸 건 그때였다.“누나, 잠깐만 기다려봐.”지오는 황급히 방으로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받지 않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어.”그러자 여기저기서 비슷한 말이 흘러나왔다.“난
굶주림
없는 세상이었음 좋겠어. 가난이 지긋지긋하거든.”“그런 세상이 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런 세상이 오기는 할까?”“그래도 신이 나잖아. 그런 세상을 생각해보는 것만으로도 난 좋구먼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등의 이야기를 갖고 있는데, 식량이라는 측면에서는 최악의 이미지”라며 “빈곤과
굶주림
정도만이 겨우 그 벽을 넘어서고 있다”고 꼬집는다. 녹색혁명과 함께 등장한 GMO1950년대 이전 세계는 개발도상국의 인구증가와 식량 부족으로 *‘멜서스의 저주’라는 위협에 시달리고 있었다. 노벨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2050년. 실종수사대 들리나? 여기 상황은 너무나도 참혹하다. 전염병과 바이러스, 그리고
굶주림
으로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어. 벼는 물론이고 밀과 옥수수까지 모두 병충해를 입은 탓에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배를 곯고 있단다. 얼마 전에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났는데 치료제를 얻을 동식물이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목구멍이 바늘구멍처럼 작아 음식을 먹을 수 없으므로 항상
굶주림
에 시달리며 살아가는 존재다. 과연 아귀와 정확히 일치하는 이미지라 할 만하다. 또 다른 가능성도 있다. ‘아귀’라는 말에는 ‘입’이라는 뜻이 있다.아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커다란 입이라는 점을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실 알고 보면 곤충은 엄청난 영양 덩어리입니다. 대표적인 식용 곤충인 사슴벌레 유충 3마리에는 아프리카인 한 끼 배급량에 맞먹는 영양분이 들어 있죠. 아프리카인 누구나 곤충을 길러 기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게 저희가 개발한 사슴벌레 사육장비의 목표입니다.”올해 7월 3일~7일 이 ... ...
그들에게 신(神)은 없었다 크로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걸리는 병이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가장 흔한 이유는
굶주림
이다. 이 때문에 결핵은 후진국형 질병에 속한다. 결핵균과 싸우는 면역세포들이 에너지를 많이 쓰기 때문에 결핵에 걸리면 환자의 체중이 급격히 준다. 그래서 후진국에서는 결핵에 걸리면 사망 확률이 높은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위를 부검한 결과 모두 텅 비어 있었다”며 “먹이 수급 변화나 다른 종의 존재로 인한
굶주림
이 한 종의 진화 방향을 결정짓는 강력한 요인임을 잘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했다. 유전자 발현 패턴이 부리 모양 결정부리의 다양한 모양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지난 2004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