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조
d라이브러리
"
검파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 선박 등을 무선으로 유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신기 무선조종용 신호를 수신 ·
검파
하고 그것에 의해 필요한 계기를 작동시킨다 길이 ·각도·넓이 ·부피 등 모든 기하학적 양의 대소 관계를 대상으로 하는 기하학 사영적(射影的) 공리(결합 · 순서 · 연속에 관한)에 의해 성립하는 일반적 ... ...
알래스카 빙하 두께 연간 50cm 이상 감소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라디오나 텔레비전 수신기에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고주파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바꿔
검파
하기 위한 증폭 MHz 단위의 전파로 특정한 속도를 가진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가속시키고 다른 이온은 되쫓기 전압에 의해 발산시키는 방식의 질량분석계 미지수에 관한 차수(次數)가 3차 이상의 방정식 5차 ... ...
5인의 과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바로 헤드폰으로 들을 수 없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검파
기. 다이오드나 방연광(方鉛鑛)과 같은 결정이 사용된다. 해어는 암석에 흔하게 포함돼 있는 방연광 결정을 사용했다. 또 냄비를 잘라 만든 동조 축전기를 이리저리 이동시켜 서로 다른 전압의 라디오파를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학하던 시절을 거쳐 거의 마무리 단계에 이른 것은 지난 1999년. 송교수의 신호
검파
이론이 실제 세계에서 유용한 통신시스템으로 거듭난다면 18년간 한 문제에 매달려 온 보람을 찾을 것 같다는 말에 “통신의 기본적인 문제를 풀었다는데 만족해요”라며 순수과학자 같은 면모를 내비친다. ... ...
마르코니의 무선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발견했다. 그러나 에디슨은 그 가치를 알지 못했다. 그런데 20년 뒤 무선수신기의 안정된
검파
장치를 연구하던 영국의 전기공학자 플래밍(1849-1945)이 에디슨효과의 중요성을 간파해냈다. 그는 1904년 최초로 2극진공관을 발명했다. 그리고 2년 뒤 미국의 포레스트(1873-1961)가 3극 진공관을 발명했다. ... ...
침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포토트랜지스터나 포토다이오드가 적외선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 신호는 증폭과
검파
등의 회로를 거쳐 채널을 바꾸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등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한다.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는 직진성이 떨어지지만 전파보다는 좋기때문에 리모콘을 사용할 때는 텔레비전 수상기 쪽으로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양(陽)·음(陰)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한
검파
법 그리드 전류의 비대칭성에 의해
검파
된 전류는 그리드 누설을 나타내므로 입력이 클수록 그리드의 평균 전압은 음이 된다따라서 그것이 양극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로 증폭되어 출력이 된다음극을 가열하지 않고 사용하는 냉음극(冷陰極)과 ... ...
헬기타고 하늘에서 지질탐사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레벨에 따라 K(칼륨) U(우라늄) Th(토륨)의 방사능강도(K+U+Th)를 비행기에 탑재된 광석
검파
기(crystal detector)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자료의 기록 및 처리는 자력탐사와 비슷하다.이처럼 항공탐사는 지표에서 자력 탐사나 방사능탐사를 행할 때 사용하는 탐사장비(기록계+탐지계)를 비행기에 탑재해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신호를 운반하는 반송파라는 전파와 결합해 변조된다. 수신기가 변조된 신호를 받으면
검파
기가 반송파로부터 신호를 걸러내어 음파나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이다. 인공위성 우주탐사기 우주망원경의 개발로 이제는 지구적 차원을 넘어 다른 행성과의 통신까지 꿈꾸게 되었다 ... ...
고감도 우주망원경에 심각한 영향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항공우주국)의 자외선 및 가시광선 천체물리학그룹의 팀장인 에드워드 와일러 박사는
검파
기 기능이 갈수록 고감도화 되기 때문에 반 알렌대의 이상현상에 대처할 예방책은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브라질의 한 해역에 자장의 약(弱)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미 1세기 전에 알려진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