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름
감광막
d라이브러리
"
건판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거의 알려지지 않은 채 사장됐던 난제. 물리학자 뢴트겐이 햇빛을 차단해 보관했던 사진
건판
때문에 우연하게 X선을 발견한 것처럼 발상의 전환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된 유명한 패러독스. 뢴트겐의 관측은 거짓말쟁이 패러독스와 직접적으로 관련을 갖지는 않지만 논리학상 알려지지 않은 ... ...
20세기 물리학 혁명의 출발점 X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놓고 빛을 쬔 것이 실험의 전부였다. 그런데 몇시간 뒤 놀라운 결과가 생겼다. 사진
건판
이 검게 변해 있었던 것이다. 뭔가 종이를 투과하는 빛이 우라늄 속에서 나왔다는 증거다. 사람들은 그 빛을 베크렐선이라고 불렀다.베크렐은 새로운 방사선의 발견으로 1903년 퀴리 부부와 더불어 ... ...
입자물리의 영원한 라이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것은 입자의 궤적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안개상자, 거품상자, 핵
건판
과 같은 기존 검출기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개념의 검출기였다. 샘 팅은 이 검출기를 이용해 참쿼크와 반참쿼크로 이뤄진 중간자인 제이/프사이((J/ψ) 입자를 발견해 1976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또 ... ...
기를 찍는 키를리안 사진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키를리안에 의해 우연히 발명됐다. 그는 고주파 고전압의 전기를 물체에 가했을 때 사진
건판
에 이상한 사진이 찍히는 것을 발견했다.러시아 정부는 이에 대한 연구를 1940년대부터 이미 시작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해 크게 관심을 끌었다.키를리안 사진기의 원리는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첨가제를 가하며 필름베이스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사진감광재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건판
이나 필름용 유제는 브롬화은과 염화은으로 된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좋은 증거다.염사란 어떤 사람이 영상을 떠올리고 이를 마음으로 카메라(또는 사진
건판
)를 향해서 보내면 셔터를 누르지 않고도 필름에 그 영상이 찍히는 현상이다.염사현상은 1930년대 일본 도쿄대 후쿠라이 박사가 투시실험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후쿠라이 박사는 최면심리학을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밝혀지게 되었다.즉 그들은 결정격자에 X선을 쏘아서 X선이 회절과 간섭을 일으켜 사진
건판
에 여러 반점(라우에 반점)들을 만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 실험은 X선이 전자기파라는 것을 밝혀 주었을 뿐만 아니라, 결정격자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뒤 X선 결정학 분야라는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실험에 사용하던 우라늄 원광과 사진
건판
을 서랍 속에 넣고 여행을 다녀왔는데 사진
건판
이 감광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형광현상이 아니었다. 외부에서 빛을 쬐어주지 않아도 우라늄에서는 투과력이 강한 빛이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이 이후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이온은 먼저 전기장에서 휘고 다음은 자기장에서 휘게하여 같은 질량을 지닌 입자를 사진
건판
의 일정한 한 점에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원자의 질량을 결정한다.이런 방법으로 측정한 ${O}_{16}$의 질량은 15.9949150±0.000002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같은 산소 원자라 하더라도 질량수가 다른 동위원소에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오래 노출된 사진 건관상에는 정상적인 타원은하(E0)이다. 그러나 노출시간을 짧게준
건판
에서는 은하중심으로 부터 세부분으로 나뉘어진 제트(jet)가 분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직도 이 제트의 정체나 높은 에너지원에 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