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점"(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특수한 경우가 아닌 한, 전공이 대학별로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지방의 거점국립대가더 다양한 전공을 개설한 경우가 많으니 참여하기 수월한 일정과 지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대학 행사를 찾아보자. 더불어 각 지역 교육청이나 지자체에서 개최하는 진로 진학박람회를 활용하는 것도 ... ...
-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8년 10호
- 형사도 연쇄살인마를 잡을 수 있을까요? 파묻힌 진실을 꿰뚫는다 드디어 범인의 거점을 찾았습니다. 형사는 당장 동료들을 불러 현장을 파헤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정원 곳곳에서 시신이 발견됐습니다. 이 시신의 수가 그동안 발생했던 연쇄살인 건수와 일치한다면 적어도 잭 더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역 주민 사이의 갈등이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져 사회 통합이 저해될 수 있다. 성장 거점 개발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이에 따른 성장 이익을 다른 지역으로 파급해 효과를 확산하는 개발. 불평등 완화 노력능력이나 업적에 따른 어느 정도의 불평등은 개인의 성취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말했다.트러스트 노드는 중간지점에 수신부와 송신부를 같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거점에서 생성된 암호키를 가지고 있다가, 트러스트 노드에서 한번 더 먼 지점으로 쏘는 형식으로 양자통신거리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중국이 2016년 양자통신위성을 쏘아 올린 것에 대해 곽 랩장은 “중국처럼 ... ...
- [DJ CHO의 롤링수톤] 에스허르 하우스에 갇힌 가상 밴드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됐습니다.머독은 플라스틱 비치에 온갖 타르와 쓰레기들이 모여 만들어진 섬을 새로운 거점으로 정했습니다. 섬 위에 작업실까지 마련했습니다. 건물 설계자는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로, 에스허르 하우스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이번 뮤직비디오와 애니메이션 스토리 배경이 되는 곳 이지요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가족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다.충북 거점 무한상상실 단장을 맡고 있는 박성준 한국교통대 기계자동차항공공학부 교수는 “충북 지역은 문화 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데 무한상상실이 작은 교육문화시설로 자리잡고 있다”며 “어린 학생부터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등 ICT 활용이 가능한 곳으로 개선할 계획도 하고 있다. “학교를 메이커활동의 거점으로 만드는 것 같다”는 말에 그는 “그렇다”고 답했다.“미래 세대를 위해서는 많은 걸 바꿔야 합니다. 미래 세대에 필요한 소양이 뭔지 사회적 고민이 필요합니다. 확실한 건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할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지난 8월에 정자은행연구원을 설립했다. 정자은행연구원은 앞으로 전국 각 권역별 거점병원에 정자은행을 두고 민간기관이 보관하고 있는 정자를 포함해 정자에 관한 모든 자료를 관리할 계획이다. 국내에도 실질적인 정자은행이 만들어지는 것이다.국내 불임 인구는 5년간 20%가 넘게 증가해 2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남아 있기도 하다. 그 모습을 만나고자 지난 5월, 서호주로 향했다.우리는 서호주의 거점도시 퍼스에서 북쪽으로 2시간을 달렸다. 그곳에는 수천 개의 암석기둥이 사막에 솟아 있는 피너클스 사막이 있다. 피너클은 이곳에 있는 암석기둥이다. 석회암 성분으로 돼 있는데 큰 것은 높이가 3m에 이른다.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혜택을 본 경우였다.투자 역시 중요하다. 일본 정부는 메이지시대인 1886년부터 지역 거점에 도쿄대, 교토대, 나고야대, 규슈대 등의 7개 제국대학을 운영하며 기초과학을 가르쳤다. 이들은 나중에 모두 국립대가 됐는데, 이 가운데 5개 대학에서 일본인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대부분이 나왔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