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no"(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10
- 순간에도 상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다. '기술공상가' '저주받은 사람'… '나노 테크놀러지(nano technology)의 대부로 자처하는 에릭 드렉슬러에게 쏟아지는 비판이다. 지난 15년간 새로운 분자세계가 열린다고 줄기차게 주장해온 그는 이제 새로운 세계의 전도사로서 전세계를 누비며 대중 강연에 ...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과학동아 l199309
- 침식되지 않는다'는 기록을 읽고 유리종 대신 납으로 만든 방속에서 황을 약간의 질산염(NaNO₃)과 섞어 가열해 당시의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충분한 황을 제공했다. 이와같은 황 제조법을 연실법(鉛室法)이라고 한다.이 반응에서 사용된 질산염은 이산화황이 삼산화황으로 산화되는 과정에서 ...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과학동아 l199305
- 앓고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마이크로(micro)영역, 더 나아가 앞으로 전개될 나노(nano)영역의 미시적 세계에서는 현재 모든 기계 메커니즘의 무대가 되고 있는 거대세계와는 완전히 그 물리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멋 모르고 그 세계에 들어 갔다기는 난쟁이 나라에 들어가 결박당한 ...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과학동아 l199304
- 스마트구조의 미래는 재료과학, 재료설계 및 제조, 생체모방, 인공지능, 나노기술(nano technology, 나노는 ${10}^{-9}$을 가리킨다) 및 신경망 등과 같은 기술들의 진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현재의 스마트재료는 제작자의 의도를 수동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데 반해 미래의 스마트재료는 ...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과학동아 l199206
- 재료공학자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마이크로시대(${10}^{-6}$)를 마감하고 새롭게 나노(nano)시대(${10}^{-9}$)를 여는 기기중 하나인 STM은 양자역학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고전역학 아래에서는 성립자체가 불가능하다. 마이크로시대를 마감하고예를 들어 위치에너지가 같은(동일한 높이에 ... ...
- 컴퓨터의 땀을 닦아라!과학동아 l199206
-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전기는 빛의 속도로 흐르는데 (1초에 30만km), 이 전기가 1나노초(1 nano second, ${10}^{-9}$초)에 움직이는 거리는 얼마일까?① 3천m ② 30m ③ 0.3m ④ 0.03m2.컴퓨터의 하드디스크는 기억장치의 하나다. 일반적으로 헤드라고 불리는 장치가 움직이면서 하드디스크 위에 정보를 쓰거나 ..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과학동아 l199206
- 소구체의 크기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크롱(${10}^{-6}$)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나노(nano, ${10}^{-9}$)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1nm의 입자라고 하면 피부속 꽤 깊숙이 침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국화장품연구소 소광수선임연구원은 주장한다.그러나 "설령 한방화장품 속에 들어있다는 ...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과학동아 l198707
- 식초나 과일즙 뿐이었다. 그러나 중세 아라비아 연금술사 '게버'(약 721~약 815)는 초석(NaNO₃), 황산구리, 명반〔KAI(SO₄)₂·12H₂Ο〕을 섞어 가열해 질산을 얻었고, 또 명반을 가열해 황산을 만드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 순수한 염산을 최초로 만든 사람은 15세기 B. 바렌틴(1394~1450무렵)으로, 소금과 녹반 ...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과학동아 l198705
- 가져 왔다. 사실상 20세기 초기까지 ‘고정된’ 질소원으로는 두 종류 즉 질산나트륨(NaNo₃)과 황산암모늄[(N${H}_{4}$)₂S${O}_{4}$]이었다. 그런데 질소를 함유한 비료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자 새로운 자원을 개발할 필요성이 널리 거론되었다. 따라서 공중질소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 ...
- 제3의 통신, 중력파 전파통신의 불가능을 해결한다과학동아 l198608
- 부터 멀면 멀수록 급격히 약하게 되어버리지만 안테나간의 거리가 짧으면 출력전압은 1nano-Volt(10억분의 1 Volt)로 현재의 기술로도 충분히 검출할 수 있다. (그림3)(그림4)가 수신측에서 받은 결과이다. 보내온 신호는 ·―(똔쓰) 즉 영어 A의 모르스신호이다. 실험을 함께한 한 학생은 "이것이 A라고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