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한
은하수
hadsund
d라이브러리
"
하순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04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또한 혜성의 꼬리는 1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5월
하순
에 접어들면서 이 혜성은 급속도로 어두워지기 시작해 4등급대가 된다. 그러므로 니트혜성의 최고 관측 적기는 서쪽하늘에 달이 없거나 달빛 영향이 거의 없는 5월 8일부터 22일 사이다.6월에 접어들면 리니어혜성과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09
충돌을 피할 수 없을 정도다.그렇다면 전체 우주에는 별들이 얼마나 많을까. 지난 7월
하순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학회에서 호주국립대의 사이먼 드라이버 박사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주에 있는 별들의 수가 7 뒤에 0이 무려 22개가 붙은 만큼이나 된다. 7천억에 1천억배를 한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09
정상 부근에도 여의도 면적의 1/3 정도인 약 30여만평에 이르는 고위평탄면이 있다. 4월
하순
경에는 여기에 참꽃이 군락을 이뤄 온 산을 붉은색으로 물들인다. 달성군에서 매년 4월에 개최하는 비슬산 참꽃축제 때는 전국에서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는다.지난 2001년 3월 필자는 문화재청에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06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결정은 능면체(菱面體) 또는 괴상(塊狀) ·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04
경칩이 한참 지났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개구리는 종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3월
하순
부터 물웅덩이에 알을 낳기 시작한다. 그후 알을 깨고 올챙이가 되는데는 대개 보름 정도가 걸린다. 때문에 이르면 4월 중순부터는 연못에서 노니는 올챙이를 볼 수 있는 셈이다.우주에서도 올챙이를 만날 수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복탄산염을 이룬다결정은 능면체(菱面體) 또는 괴상(塊狀) ·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가깝다. 하지만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점차 크기가 커지면서 모양도 반달을 닮아간다. 8월
하순
이 되면 금성은 완전한 반달 모양이 된다. 그리고 9월이 되면 크기가 점점 커지면서 초승달 모양으로 바뀐다.금성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면서 변해간다. 이같은 변화는 7월에서부터 시작해 ... ...
5월 새로운 혜성 이케야-장 관측 적기
과학동아
l
200205
용머리를 뜻하는 용자리 사각형을 지나가며 5월 중순에는 헤르쿨레스자리를 지난다. 5월
하순
에는 왕관자리로 이동한다.혜성은 달이 없는 밤하늘에서 제대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5월 중 달빛이 없는 기간은 5월 중순경이다. 따라서 이때 헤르쿨레스자리 주변에 위치하는 혜성을 주요 타깃으로 삼을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08
밀려온 얼음덩어리들이 허옇게 얼어붙고 눈으로 덮인다.남극 둘레의 바다는 보통 3월
하순
부터 얼기 시작한다. 남극대륙을 둘러싼 바다인 남빙양의 상당부분이 얼어붙은 해빙이 된다. 필자가 있는 남극 세종기지 부근의 바다는 매년 어는 것은 아니지만, 얼게 되면 평균두께 60cm 정도로 언다. 설혹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01
천단위 숫자 ‘1’ 대신 영문자 ‘A’를 쓴다. 예컨대 소행성 ‘A904 OA’는 1904년 7월
하순
에 첫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을 뜻한다. 그럼 네자리로 된 소행성 번호와 고유이름은 언제쯤 얻을 수 있을까.소행성이 충(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2-3회 통과한 이후, 네자리로 된 소행성 번호를 부여받는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