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
속행
추적
추격
실행
이행
수행
d라이브러리
"
추구
"(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10
명실공히 통일이론의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이 마지막까지 절실하게
추구
하던 중력과의 통일이론은 아직도 미래의 일이다. 물리학의 오랜 염원리 스몰린은 베스트셀러 ‘곤란해진 물리학 : 끈 이론의 발흥, 과학의 몰락, 앞으로 올 일’에서 이론물리학의 최대 난제 다섯 가지를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이야
과학동아
l
201509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덤덤히 받아들이고 계속 조금씩 나아가려는 태도가 중요하다. 꿈을
추구
하는 과정은 대부분 일생에 걸친 장기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실패와 후회를 겪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임을 깨닫고 지나치게 일희일비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이 심리학적으로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08
세밀하게 드러낸 한문 기록이 급증한다”며 “금욕적이던 조선 사회가 욕망을
추구
하고 소비를 과시하는 행태를 보이는 사회로 변화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고 설명했다.개장국 레시피 능력자 박 주부실제로 조선 중기에는 내로라하는 탐식가들이 대거 출현한다. 그중엔 실학자 초정 박제가도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
과학동아
l
201506
표준과학계 에서 하얀 재킷에 묻어있는 얼룩"이라는 말이 있다. 얼 룩을 벗겨 완벽을
추구
하는 게 과학자의 본능이다. 더 구나 나노그램, 피코그램 등 아주 작은 질량을 재는 일 이 늘어나면서 부정확한 kg은 조금씩 문제를 키우고 있었다(다만 저울 업계는 최근까지도 기준 변경에 반 대했다고 한다)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06
끊임없이 새로움을
추구
해야합니다." 셰크먼 교수는 '과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 "남들이 생각하지 않은 주제를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는 새로운 경험"을 강조했다. 새로운 시도는 성공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오히려 위험이 뒤따른다. 성적이 높은 이공계열 학생 중 상당수가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
수학동아
l
201504
크레이그는 브라헤가 쓰던 ‘계산법’을 네이피어에게 알려줍니다. ‘간단한 계산’을
추구
하던 네이피어에겐 신선한 자극이었죠. 네이피어는 ‘거듭제곱’과 ‘삼각법’을 바탕으로 기발한 계산법을 발명해냅니다. 모든 양수를 1이 아닌 양수의 거듭제곱값으로 나타내고, 이 값이 덧셈과 곱셉을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수학동아
l
201504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하면 이런 역설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완벽을
추구
하는 수학자들은 당연히 거기서 만족하지 못했다. 24세의 젊은 청년 괴델도 그 중 한 명이었다. 괴델은 ‘불완전성 정리’를 통해 ‘참인 모든 명제를 증명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걸 밝혀낸다. 그토록 오랫동안 ... ...
[Hot Issue] 따뜻한 마음이 부른 폭력
과학동아
l
201503
같은 여러 가지 성격 특성 중에서도 쉽게 공감을 하며 다른 사람과의 원만한 관계를
추구
하는(원만성이 높은) 사람들이 더 쉽게 전기고문에 응했다. 이들은 친구나 윗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게 최우선이고 명령을 거슬러 심기를 불편하게 하거나 갈등을 일으키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다 보니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
수학동아
l
201503
중요한 이유를 이야기했다. “일반 언어로는 정확한 양을 나타내기 힘듭니다. 객관성을
추구
하는 과학의 언어가 수인 이유입니다.”김 교수는 자연상수를 특별히 강조했다. 고등 수학으로 갈수록 자연상수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진다는 설명이었다. 자연상수를 밑으로 갖는 지수함수($e^{x}$)는 미분과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12
노력을 통해서 단지 각종 진리에 대한 증거를 찾아나갈 뿐이다. 물론 학문의 전통상
추구
하는 논리의 명확성이 특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완벽한 확신이 불가능한 것 역시 당연하다.수학의 확실성에 대한 걱정은 독일의 철학자인 이마누엘 칸트에서 영국의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까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