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관찰하니 더 실감났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친구들도 집에서 직접
지층
과 판 모형을 만들어 보세요. 지진뿐만 아니라 지구의 땅 속 움직임을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있어요. 이렇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땅은 옆으로 당기거나 미는 힘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지층
이 끊어지기도 하지요. 이걸 ‘단층’이라고 해요.‘끊을 단(斷)’은 실로 이어져 있다는 뜻을 가진 ‘이을 계(㡭)’ 뒤에 ‘도끼 근(斤)’이 붙어 만들어진 한자예요. ‘실로이어져 있는 것을 도끼로 ... ...
[핫이슈 ➊] 아이스에이지 지구대충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4
시작했어요. 이 지역은 6500만 년 전에 지름 10km의 소행성이 충돌한 곳으로, 지금은 땅 속
지층
깊숙이 크레이터가 숨겨져 있지요.연구팀은 약 2주간 작업한 결과 1500m 깊이까지 땅을 뚫고, 기둥처럼 층층이 쌓인 암석 표본을 꺼낼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이 암석 표본을 조사해 충돌 당시에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2
‘끼이익’ 컨테이너 철문을 열자 돌이 무더기로 쌓인 선반이 눈에 들어왔다. 뽀얀 돌먼지를 뒤집어쓴 컨테이너 내부는작업 중인 채석장을 연상시켰다. 11월 2일 오후 1시, 기자는 대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하 지질연)에서 열린 ‘백두산 샘플파티’에 참석했다. 국내 연구진 14명이 7월 30일부터 8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12
도시가 있고 여기에 1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풍계리와 백두산은 116km 떨어져 있다.
지층
균열 자체도 문제다. 암석이 파괴되면 그 틈 사이로 핵물질이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이 책임연구원은 “북한이야말로 규모 7.0 이상 되는 핵실험을 할 때의 위험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12
결국 원숭이들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돌들을 발견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
지층
의 나이가 65년쯤 됐으며, 따라서 2세대 이상의 원숭이들이 돌 도구를 사용해 왔음을 밝혔다. 사냥 같은 특수 목적용 도구 만들기도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돌을 가공하지 않고 쓰는 것과 달리, 사냥이라는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
과학동아
l
201612
위해 계속 연구하고 있어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주로 해저 수백 m에 있습니다. 해저
지층
이 연약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더구나 잘못해서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가 공기 중으로 유출되면 지구온난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개발하고 있죠. 이외에도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
과학동아
l
201611
현존하거나 사라진 수많은 생명체의 화석이 발굴된다. 국립과천과학관에도 그린 강 퇴적
지층
에서 발굴된 초대형 표본이 전시돼 있다. 커다란 종려나무와 물고기가 함께 화석화된 독특한 표본이다. 500만 년 동안 쌓인 퇴적층 사이사이에 다양한 옛 생명체의 화석들이 숨어 있는 이곳은 지구와 생명의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
시대를 ‘인류세’라고 분류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어요. 석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지층
을 보고 그 시대를 ‘석탄기’라 부르듯, 인류의 흔적이 남은 이 시기를 ‘인류세’라고 부르자는 거예요.인류세는 아직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
아니지만, 한반도가 위치한 유라시아판이 인도판과 태평양판 사이에 끼어 있는 탓에
지층
에는 계속해서 압력이 쌓인다. 이것이 지반이 약한 단층대를 따라 한 번에 방출되는 게 지진이다. 이윤수 지질연 지질조사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이번 지진의 특성을 좀 더 살펴보면 주향이동 단층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