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모깎기
전용
전적
양털깎기
d라이브러리
"
전모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05
못했다가 1945년 독일이 항복한 뒤 트럭에 실린 가짜 돈뭉치가 발견되고서야 사건의
전모
가 드러났다.사진연출의 시작1857년 스웨덴 사진작가 오스카 레일랜더가 촬영한 ‘인생의 갈림길’이 최초의 합성사진으로 꼽히고 있다. 한 현인이 두명의 청년에게 인간 본성의 상반된 모습을 동시에 설명하는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10
해역에서 벌어진 수색과정에서 찾아낸 시체는 모두 3백28구였다. 시간별로 구성한 사고
전모
4월10일 정오 아침부터 몰려든 손님을 태운 타이태닉호는 사우샘프턴항을 출발, 프랑스 셸부르항을 들러 다시 에이레의 퀸스타운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11일 오후 1시반에 본격적으로 뉴욕을 향했다.11일 3백8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01
유전자 전이에 의한 질병치료기술이 개발된다(2010).6. 세포암화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의
전모
가 해명된다(2010).7. 암의 전이를 막는 유효한 방법이 실용화된다(2010).8. 의약용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정제기술이 개발된다(2001).9. 장기(臟器)의 장기(반영구) 배양·보존기술이 실용화된다(2010).10. 단백질의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
과학동아
l
199312
이 과정에서 그는 점차 만일 그 족장이 피신했던 동굴을 찾을 수 있다면 사건의
전모
를 밝힐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됐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루카는 피난하면서 마을의 여자와 어린이들을 모두 데리고 갔다. 그들이 몸을 숨겼던 곳은 난공불락의 요지에 있었고 그곳에 닿는 길은 오직 하나밖에 ... ...
2 흙과 미생물
과학동아
l
199301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생태적 연관과 기능이 너무나 다양한 까닭에 아직도 그
전모
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과학의 발달에 따라서 조금씩 밝혀지는 단계에 있다.공동묘지의 흙195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며 유명한 토양미생물학자인 왁스만(Waksman, S.A. 1988~1973)은 한때 그의 연구실에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문제가 전세계적인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가령 어떤 특정단백질과 관련된 유전자의
전모
를 밝혀낸 다음 그 단백질을 독점적으로 생산하려는 선진국들의 '횡포'가 국제문제로 비화되고 있는 것.지난 10월 연달아 발표된 염색체 21q와 Y염색체 유전자지도 작성뉴스는 전세계를 흥분시켰다. ... ...
(2) 벙어리 컴퓨터가 달변가로 변신
과학동아
l
199206
담은 '사막의 폭풍'이란 제목의 CD롬도 등장했다. 지난해 실패로 끝난 옛 소련 쿠데타의
전모
를 CD롬에 담는 작업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홈시장 공략하는 「공룡」 IBM멀티미디어 PC를 이용한 정보 교환은 CD 롬 이외에 전화선을 이용해서도 이루어진다.PC가 모뎀을 통해 문자 정보를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
과학동아
l
199102
영재교육기관'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어찌 그 뿐이랴. 1년에 몇번씩 통합단체 산하
전모
임이 '스타 파티(star party)'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하루 속히 통합 단체로서 '아마추어 천문학회'가 이 땅에 출현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11
통해 암유전자를 정복하려는 김성호박사(버클리대)와 유행성출혈열의
전모
를 밝힌 이호왕교수(고대)가 현재로서는 노벨상에 가장 가까이 가 있다.과학자에게 최고의 영예가 되는 노벨상에 우리 과학자들은 얼마나 접근해 있을까.2년전 서울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세계4위'의 놀라운 성적과 ... ...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07
떼어내면 최종적으로 인슐린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에는 인슐린의 유전자도
전모
를 드러냈고, 인슐린의 3차원적 구조 그리고 인슐린 구조와 효과와의 상관관계까지도 밝혀지게 되었다. 인슐린이 입체구조를 밝힌 크로우푸트 호지킨(D.Crowfoot-Hodgkin)은 1969년 역시 노벨상을 수상했다.이러한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