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기둥
막대
지팡이
웅대
버팀목
바지랑대
d라이브러리
"
장대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랑이 없는 한반도는 담비가 王
과학동아
l
201303
이용해 나뭇가지 위에서 중심을 잡습니다. 마치 서커스에서 줄타기를 하는 곡예사가 긴
장대
를 가지고 중심을 잡는 것과 비슷하지요.날랜 몸으로 나무까지 잘 타는 담비가 호랑이를 대신해 숲의 제왕이 된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무리까지 이루지요. 담비 한 무리는 어미와 새끼로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3
낚시꾼들의 모습입니다. 전통적인 죽마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가로, 세로로 얽힌 긴
장대
위에 서서 절묘한 균형을 잡아야 하지요. 푸른 바다만큼 푸른 공기 속에서 흔들리는 몸이 아슬아슬해 보이지 않나요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07
하면서 입장하네요. 참으로 보기 힘든 광경이죠? 넘사벽상 후보자답게 우아하게
장대
높이 뛰기를 하며 입장하는 수학자 갈루아도 보이는군요. 시작부터 경쟁이 치열한데요? 별별 수학 올림픽, 바로 시작합니다!오뚜기상 불가능한 난제에 도전하는 수학자들인간의 신체 한계에 도전하는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04
식물보다 가뭄에 더 잘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 연구진은 애기
장대
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꾸준히 물을 주고 다른 한 집단은 2~3일간 물을 주지 않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5일간 물을 주지 않았다. 실험 결과, 가뭄을 경험했던 식물은 그렇지 않은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01
것 외에 별다를 것이 없어 보지만 로봇에 전류를 흘려주면 신기한 일이 일어난다. 마치
장대
높이뛰기를 하듯 제자리에서 풀쩍 뛰어 오른다. 제 몸의 30배가 넘는 높이다.“우연히 이 사진을 보고 로봇을 개발하게 됐죠.”조 교수가 화면에 커다란 사진을 보여줬다. 벼룩의 해부도였다. 외워야 할 것 ... ...
비밀은 도구에 있다? 육상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7
1994년엔 6.14m까지 기록이 훌쩍 올라가지. 1994년에 우크라이나의 부브카 선수가 유리섬유
장대
로 세운 6.14m란 남자 세계 신기록은 1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단다.볼트, 이신바예바 선수! 얘기 잘 들었어요. 고마워요! 얘기를 들어보니, 프로 육상 선수들의 피나는 연습과 노력에 육상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국제우주정거장 안에 실험실을 작동시키는 데 쓰였단다. 또 약한 중력상태에서 애기
장대
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했어. 쥐에겐 약한 뼈를 튼튼하게 하는 새로운 골다공증 치료제의 효능을 시험해 봤지. 우주 공간에서는 뼈 속 칼슘이 한 달에 평균 1%씩 줄어들기 때문에 골다공증 실험을 하기 ... ...
보노보도 친구가 소중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1
똑똑하시군요!그럼요~! 우린 지능이 매우 높아서 나뭇가지 등으로 물체를 찌르기도 하고,
장대
를 이용해 웅덩이를 건널 수도 있어요. 이번 연구로 동료가 내는 소리를 듣고 의미를 알아차리는 능력도 밝혀졌지요. 사람과 DNA가 98% 이상 일치한다더니, 언어를 듣고 이해하는 것도 비슷하죠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09
아이디어를 냈습니다. 원래 감자 게놈의 반만 가지고 있는 저를 선택한 것이죠.애기
장대
그럼 당신은 진짜 감자가 아니라는 말이잖아? 당신 같은 가짜가 어떻게 신성한 게놈 클럽에 들어올 수 있지?감자 가짜라니요, 섭섭합니다. 저는 참고서라고 할 수 있어요. 새로운 염기서열을 조립하는 일은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정보를 처리하는 학문이다. 김 연구원도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그러나 식물모델인 애기
장대
만 하더라도 게놈 크기가 119Mb나 되고 유전자 수는 무려 3만 2670개에 이른다. 한 사람이 연구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동물이나 식물의 게놈을 모두 분석할 때는 여러 연구팀이 ‘컨소시움’을 구성한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