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상
여운
d라이브러리
"
잔상
"(으)로 총 5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IT 트렌드의 현장, 소비자가전 전시회(CES) 2008
과학동아
l
200802
울트라HD LCD TV 시제품을 내놓고 기술력을 뽐냈다.LCD TV의 단점 가운데 하나인 동영상의
잔상
을 해결하기 위한 120Hz 구동기술은 삼성과 소니 뿐만 아니라 샤프와 LG전자 같은 주요 LCD TV 생산업체가 모두 채택해 이 기술이 보편화될 것임을 예고했다. 120Hz 구동기술은 1초에 정지 영상 120장을 빠르게 ... ...
미술관에 간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07
눈의 망막은 이들이 혼합된 중간색이 나타나 원하는 최종색을 칠한 것처럼 느낀다. 눈의
잔상
효과 때문이다. 이를 병치혼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빨강과 파랑의 작은 점들을 모자이크처럼 교대해서 찍어 놓고 이를 멀리서 보면 보라색으로 보인다.마네, 모네, 세잔, 고흐, 시냐크 등 인상파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02
각도에 따라 화면에 빛이 노출되는 방식인 액정표시장치(LCD)다. 그러나 시야각이나
잔상
등은 액정 소자가 갖는 한계다. 또 화면에 가까이 다가가면 미세하게 나눠진 화소 사이의 간극이 어둡게 보이는 단점도 있다.하지만 윤 교수는 “머리카락 굵기의 8분의 1만한 거울을 사용하면 화소 사이의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4
영상으로 느껴지는데 이것을‘
잔상
효과’라고 한다. 밤에 보는 불꽃놀이가 대표적인
잔상
효과의 예다.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애니메이션1초에 50장의 연속된 그림을 보면 하나의 상이 나타났다가 망막에서 없어지기 전에 또 다른 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끊어짐을 느낄 수 없다. 이 원리를 이용해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
통해서뿐만 아니라 ‘뇌’를 통한 지각과 경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어난다.
잔상
을 이용하여 새장 속에 새를 가두자!1 새장과 새가 그려진 종이 두 장이 있다.2 그림이 없는 면에 풀을 바르고 두 종이를 붙인다. 이 때 나무젓가락을 종이 사이에 넣고 함께 붙인다.3 완성된 그림판을 빠르게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08
PDP 진영은 소비전력을 낮추고 LCD TV와 경쟁할 준비를 갖추는데 시간이 걸리지만, LCD는
잔상
효과 등의 단점을 보완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20~30년 전 SF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던 장면들이 어느새 자연스런 일상이 됐다. 휴대전화로 TV를 보고, 100인치가 넘는 대형 TV가 등장했다. 그럼 미래의 TV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06
속도보다 액정의 반응이 느리기 때문이다. 축구 경기나 3차원 입체 게임 등에서 화면에
잔상
이 생기면 집중하기 어렵다.최근 LG필립스는 반응 속도의 문제를 브라운관(CRT) TV 수준으로 개선했다. 이를 위해 응답속도가 빠른 액정 재료를 개발했다. 유리기판에 전압을 걸어주던 몰리브덴도 구리로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10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영상의 경우 1초에 16장 이상 연속적으로 이어지면
잔상
효과 때문에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보인다. 디지털 TV의 경우 1초에 30장의 영상이 연달아 나간다.실시간 기술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시간차가 생긴다. 위성항법장치로 불리는 GPS가 처음 등장했을 때 그랬다. GPS는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01
그는 한 눈을 감고 다른 눈으로 태양을 계속 쳐다본 후에는 태양에서 눈을 떼도 남는
잔상
을 보면서 환상이 시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눈 뒤를 뜨게 바늘로 눌러 망막의 굴곡을 바꿔 시각에 왜곡이 오는지 실험하기도 했다.뉴턴은 데카르트, 후크, 보일 등 유명한 저작들을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12
상태에서 흰 가운을 입은 동료 의사나 간호사를 보게 되면 붉은 색의 보색인 초록색
잔상
이 남게 된다. 이 때문에 수술시 의사의 집중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시에는 흰 가운 대신 초록색 가운을 입는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