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득"(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11
- 구한다면 어른이 한 명 죽을 때 유전자 2.5개가 전해진다. 당신이 사촌만 구한다면, 그 순이득은 더욱 미미하다. (…) 이런 행동을 하게 하는 유전자는 상당히 작은 개체군에서만 그나마 전파될 가능성이 있음은 분명하다. 그런 경우에는, 대다수 물에 빠진 아이들이 강물에 몸을 던지는 어른과 꽤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10
- 내용을 직접 요약 소개하는 논문을 1963년에 실었다. 물론 해밀턴은 동물들이 집단 전체의 이득을 위해 희생한다는 윈-에드워즈의 집단 선택론은 좋아하지 않았다. 어쨌든 네이처 편집장의 태도 변화는 반가운 징조였다.사달이 난 것은 해밀턴의 손길이 1964년에 출간된 네이처 더미로 향했을 때였다.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09
- 큰 장애물은 무임승차자가 정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으면서 염치없이 협력자와 어울려 이득을 뜯어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혈연 관계나 혹은 다른 요인을 통해 무임승차자가 협력자를 좀 덜 만나게 타이르고 말려줘야 한다. 다시 말해서, 그냥 우연에 의해서보다 협력자는 협력자끼리 더 많이 만나고 ...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과학동아 l201608
- 북한의 중장거리 미사일을 정말 사드로 막을 수 있는지, 사드 배치로 얻는 안보적 이득이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보다 중요한지에 대한 논의를요. 이런 논의들이야말로 ‘과학적’으로 따져보면 판단이 어렵지 않은 사항이지 싶습니다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비용은, 자신의 친형인 우위 수컷이 더 많은 짝짓기 기회를 얻어서 생기는 간접적인 이득으로 상쇄되고 남는다.선행은 진화할 수 있다. 선행이 주는 이득(b)을 두 사람 사이의 근연도(r)로 곱해 삭감한 값이 선행에 의한 손실(c)보다 크다면 말이다. 해밀턴의 규칙은 세 가지 변수가 들어가는 일종의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07
- 것이다. 경이로운 진화의 산물아이아이만의 독특한 해부학적 구조와 그로 인해 얻는 이득은, 다른 영장류와 비교해 확실히 독보적이다. 수천만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하면서 사냥에 필요한 복잡한 먹이잡이 도구를 스스로 몸에 장착했다.이들은 소리와 진동의 과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조상에서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07
- 을돌이에게 사회적 행동을 하게 하는 유전자의 관점에서 보면, 갑돌이 혹은 을돌이에게 이득이나 손실을 주는 것과 상관 없이, 그저 자신의 복제본을 다음 세대에 더 많이 남기면 그만이다. 사회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하게 세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림 Ⓒ와 Ⓓ가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기준은 그 이타적 행동이 행동한 당사자에게 이득이 되는가가 아니라 유전자 G에게 이득이 되느냐다 (해밀턴, 1963년, 352쪽). 갑돌이 몸속에 들어 앉아서 사회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자(유전자가 정말로 의도나 목적을 지닌다는 말은 물론 아니다. 그저 이해를 돕기 위한 ... ...
- [과학뉴스] 자폐증 환자에 대한 편견이 깨지다과학동아 l201605
- 것이 옳은가?’와 같은 도덕적 판단을 요구하는 질문을 했다. 두 그룹은 똑같이 “이득이 발생하더라도 누군가를 죽이는 것은 옳지 않다”고 답했다.연구팀은 자폐증 환자에게 두 가지 상반된 성격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하나는 오직 자신에게만 집중하며 사회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성격이고,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04
- 예측했다.이제 다음 단계는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이처럼 혈연에게 유전적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과연 후세대에 빈도를 높일 수 있는지 정교한 수식 모델을 세우는 것이었다. 놀랍게도, 피셔는 여기서 멈췄다. 이타성의 진화가 별로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고 여겼는지, 아니면 이 문제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