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결
경화
동결
불휘발성화
d라이브러리
"
응고
"(으)로 총 204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2
계면활성제 역할을 해 공기를 감싸면서 거품을 만들지요. 우유가 데워지면서 단백질이
응고
해 금세 꺼지지 않는 거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우유거품은 커피 위에 막이 생기는 것을 막고 열을 차단해 오랫동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요. 하지만 우유가 너무 뜨거우면 거품벽이 빨리 말라버려 거품이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3
계절 독감의 치사율과 비슷한 수준이지요.*혈소판 : 혈액 안에 있는 성분 중 하나로 혈액
응고
, 지혈에 중요한 역할을 함.*치사율 : 어떤 병에 걸려 죽은 사람 수를 그 병에 걸린 환자 수로 나눈 값.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잘 걸리는 여름, 농업종사자, 노약자 SFTS 환자는 4월에서 11월 사이에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12
비해 우유에는 카세인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에요. 카세인은 열을 가하면
응고
하지 않지만 산성에서는 젤리처럼 탄탄하게 굳어요. 우유 안에는 카세인이 다른 단백질보다 4배나 더 많이 들어 있답니다.오늘도 한양대 조리과학연구실 ‘사이언스 인 더 키친’에서 연구원들과 함께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10
응고
하면서 단단해지기 시작해요. 살에 탄력이 생기지요. 약 70℃에서는 액틴마저
응고
하면서 살이 단단하고 질겨진답니다. 반대로 결합조직은 가열하면 점점 약해지고 오그라들어요. 약 40℃부터 약해져 육즙이 바깥으로 빠져 나가기 시작하지요. 약 60℃에서는 콜라겐이 젤라틴으로 변해 살이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08
크림을 얼마나 발라야 할지 그 두께를 계산하는 공식도 알려 주었다. 만약 생크림이라면
응고
된 크림보다 푹신하기 때문에 1.5배 더 두껍게 발라야 한다.크림티 스콘 방정식에 따르면, 스콘과 잼의 가장 맛있는 두께는 스콘의 반지름에 좌우된다. 그럼 수학자가 제안하는 맛있는 스콘의 비밀을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12
가슴 근육에서 먼저 단백질
응고
가 일어나기 시작하고, 이후에 다리 근육 단백질이
응고
된다. 이 때문에 칠면조를 너무 오래 조리하면 날개와 가슴 부위는 식감이 퍽퍽해진다. 반면 상대적으로 지방 함량이 많은 다리 근육은 불로 조리하는 시간이 짧으면 질겨서 먹기 힘들다. 전통적인 레시피에서는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11
따라 자라는 씀바귀가 두통에 효과가 있다 하여 약으로 썼다. 그러나 두통약은 항
응고
제로 혈액을 굳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면 혈관이 확장돼 뇌졸중이나 동맥류를 일으킬 수 있다. 해녀를 목숨을 잃기 쉬운 위험한 직업으로 만드는 가장 흔한 이유가 바로 이 증상이다.잠수병 역시 흔하다. 앞서 ... ...
Part 1. 사전피임약 VS 사후피임약
과학동아
l
201207
장기 복용하면 인슐린 수치를 높여 당뇨병 발병을 증가시킨다. 프로게스테론은 혈액
응고
작용이 있어 심장발작, 뇌졸중, 폐 및 혈관 전색 등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농도 지단백(LDL)은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농도지단백(HDL)을 떨어뜨린다. 심장병에 ... ...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04
197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됐다. 이 독에는 혈전과 혈소판이 생기는 것을 막고 혈액의
응고
를 막으며 섬유소원을 분해하는 효소가 많다. 이 때문에 이 효소들은 혈전과 혈소판으로 막힌 혈관을 치료하는 약으로, 혈장섬유소원으로 뇌의 모세혈관이 막혀 생기는 급성뇌일혈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03
봄에 해동될 때 손상되지 않을까요? 숲개구리의 혈관벽에는 피브리노겐이라는 혈액
응고
를 촉진하는 단백질이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해동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면 이 단백질이 즉시 내벽을 격자처럼 감싸서 피가 새지 않게 해 혈관의 추가적인 파열을 막아준다고 합니다.발생학 연구에 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