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통
괴로움
어려움
쓰림
쓰라림
곤란
고난
d라이브러리
"
아픔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
과학동아
l
201503
연세대 의대 석좌교수에겐 아픈 사연이 있다. 어머니가 병과 싸우는 모습을 지켜보며
아픔
을 삼킨 그는 지금 세계 최고의 유방암 유전자 연구자가 됐다. 2004년 유방암 예측검사인 ‘온코타입디엑스(oncotypeDX, 아래 온코타입)’를 개발한 공로로 ‘유방암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코멘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
수학동아
l
201411
57년, 드디어 말레이시아가 독립을 맞이하며 말라카도 드디어 자유를 찾을 수 있었답니다.
아픔
의 세월을 기억하려는 듯 말라카에는 아직도 식민지 시절 각국의 역사 유물과 건축 양식이 그대로 남아 있어요. 하지만 이렇게 여러 나라의 유산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공존하는 독특한 매력 덕분에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로 살펴보면 다른 또래에 비해 전두엽이 덜 발달했을 뿐 아니라, 변연계 중 다른 사람의
아픔
이나 고통에 공감하는 부분인 ‘편도체’의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다른 사람을 괴롭히고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한다. 전문가들은 대개 초등학교 때부터의 공부 스트레스가 뇌 발달을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06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그래서 단지 위로의 말이나 구호품을 건네는 것이 아니라
아픔
을 함께 공 감하고 고통 받는 이들이 바라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수 있다면 조금은 빨리 나아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기대해 봅니다 ... ...
모래성 쌓기 챔피언, ‘모래아리 까르까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대표하는 건축물이었다. 그런데 뭔가 좀 다르다.“이 작품은 기울어진 피사 사탑의
아픔
을 표현한 ‘피사의 선탑’이다르. 나도 문제 하나 낼게르~, 기둥은 모두 몇 개일까르? 기둥 간격이 모두 같다르~.”미션3 아프리카 초원의 남극펭귄“세 번째 작품은 아프리카에서 온 ‘싸커나말타타’의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11
남아 이곳저곳에서 저를 도와줬어요. 정말 잘 다녀온 유학이었습니다.” 승진의
아픔
을 생쥐와 함께 한창 일에 빠져 있던 정 원장에게 가장 큰 시련이 닥쳐왔다. 5급 사무관 승진에서 두 번이나 미끄러진 것이다. 늘 일 잘하고 능력있다는 말을 들어온 정 원장은 당연히 자기가 승진할 것이라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1311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이곳에서 눈을 감았다. 태평양해양연구센터는 한국인의 한과
아픔
이 서린 이곳에 9년 전부터 자리를 잡고 있다. 바다가 너무 잔잔하다고 말을 건네자 “동그란 환초 바깥에서 파도가 더 이상 오지 못하고 부서지기 때문에 안쪽은 호수처럼 잔잔한 것”이라고 말했다.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
과학동아
l
201309
찾지 못해 이리 저리 찌르기만 하고 있었고 피는 올라오지 않았다. 간간히 느끼는
아픔
과 계속되는 가려움.... ‘제발 한번에 끝내다오’ 라고 속으로 계속 반복했지만 결국 촬영은 실패로 끝났다 (모기의 경우 방송 장면은 자료 화면을 이용했다).어쩔 수 없이 체체파리의 흡혈장면으로 넘어갔다.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02
짜증나는 것도 없다. 가려움이 심해지면 따끔거리며 아프기도 하다. 가려움과
아픔
은 어떤 과정을 통해 느끼는 걸까. 싱츠홍 동 미국 존 홉킨스대 교수팀은 가려움 신호를 뇌에 보내는 세포 ‘MrgA3’의 기능을 동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 신경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지난해 12월 2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매운 맛은 신경세포가 ‘통증’으로 인지하는 신호란다.청 그럼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아픔
이라는 것이 옵니까?은하수 우리가 매운 맛을 어떻게 느낄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해 줄게. 자, 여길 보렴. 은하수 이렇게 통증이 있으면 뇌에서는 ‘엔돌핀’처럼 기분을 좋게 하는 호르몬을 내 보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