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어"(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수학동아 l201612
- 전 세계로 선물을 배달하는 산타의 위치를 추적합니다. 북극에서 세계 곳곳으로 선물을 실어 나른다고 알려진 산타도 북극의 하늘을 항상 살피고 있는 이 방위 조직의 감시망을 피해갈 수 없다는 거지요. 산타가 어디에 있는지는 12월 1일부터 산타 위치 추적 홈페이지(www.noradsanta.org)를 통해 확인할 ... ...
- Part 5. 비행기가 활주로를 뜨지 못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612
- 4400만 명을 넘는 승객을 감당해야 합니다. 지금 있는 활주로로는 승객과 짐을 빠르게 실어 나르기가 어렵습니다.이륙을 기다리던 요원들이 초조해졌나 봅니다. 매년 공항이 붐비는 연말에 300만 건이 넘는 선물을 배달해야 하는 요원으로서 심각한 문제겠지요. 그러나 공항에 새 활주로를 짓기는 쉽지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07
- 피는 혈관을 타고 온몸 구석구석을 다니면서 산소를 주고 바깥으로 내보낼 이산화탄소를 실어온다. 피가 제대로 순환하지 않으면, 특히 뇌의 경우 10초 내에 의식을 잃게 된다. 또 뇌신경이 손상되면서 10분이 지나면 뇌사 상태에 빠진다.여름마다 뱀파이어 영화가 흥행하는 이유에는 흡혈에 대한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07
- 로키아르카이오타가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이 가설에 다시 힘을 실어줬다. 로키아르카이오타는 세포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세포 내부에도 막 구조를 가진 다른 소기관이 있었을 것이다.최근에 발표된 유전자 분석 결과는 후기 가설을 더 강력하게 지지한다.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06
- 등 작은 기계장치들을 실어 정찰을 보내야 하는데, 웨어러블 미생물연료전지를 함께 실어 동물이 가진 생체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만들어 장치에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이에로풀로스 교수팀은 미생물연료전지를 더 최적화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현재 시스템의 최대 효율은 96% 정도. 이보다 높은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사회학 학술지에 투고하는 게 낫겠다고 친절하게(?) 조언해줬다. 결국 이 소논문을 실어준 게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였다. 그리고 이 논문은, 다음 해의 두 논문과 함께 진화생물학에 새로운 혁명이 도래했음을 알리는 서막이 됐다.사회적 행동에 있는 4가지생물학에도 근본적인 법칙이 있을까.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05
- 형태의 우주선, ‘나노크래프트’를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5분의 1 수준으로, 오늘날의 우주선으로는 3만 년 걸리는 거리를 나노크래프트는 20년 안에 ... ...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05
- 운행하기 위해선 조종자 자격증을 따야 합니다. 만약 풍선맨이 피해자를 열기구에 실어 보냈다고 가정한다면, 계속해서 열을 주지 않는 이상 금방 하강해버리고 맙니다. 공기가 식어 부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살인대상은 열기구에 실려 무사히 지상으로 내려오겠죠.목적이 조금 다른 대형풍선도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04
- 바람은 작은 곳에서 불어올 것입니다. 욱 온 노롱 생물학과 학과장을 만나 변화의 바람이 실어 온 이야기를 들어보시죠.저는 프놈펜왕립대 생물학과장 욱 온 노롱입니다. 자연과학대 소속인 생물학과에는 18명의 교수가 있고, 2명이 해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반면 학생은 700명이나 돼 모든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04
- 같은 빛을 아주 많이 모아놓은 형태입니다. 하지만 광양자통신은 광자하나에 정보를 실어 보내죠. 그렇다 보니 조금이라도 다른 형태로 변동되는 상황, 즉 노이즈(잡음)가 생기면 신호의 왜곡이 생겨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렵습니다. 광양자통신의 핵심은 이 노이즈를 줄이는 것입니다.방준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