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3
봤나요? 문제가 당장 해결되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말아요.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
처럼 그 실천을 많은 사람이 함께 하면 금세 변화가 나타날 테니까요~.그럼 이제 자신만의 지구사랑법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 볼까요? 마침 저기에 청소년환경운동가 조너선 리가 있네요. 조너선 리의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12
없음을 표현하기 위해 ‘누워서 떡 먹기’, ‘식은 죽 먹기’처럼 소화 작용을 이용해
속담
을 만들었다. 자연스럽게 숨 쉬는 것만큼 소화 작용에도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많다. 특히, 음식물이 입에서 항문까지 이동하는 과정은 우리 의지와 상관없이 내부 소화근육의 자연스러운 조화를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
과학동아
l
201211
잘 보여주는 게 바로 해녀가 아닐까.해녀의 전설 속에서 바다는 저승을 뜻한다. 해녀
속담
중에는 “저승 돈 벌어 와서 이승 자식 먹여 살린다”라는 말이 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페르세포네의 이야기와 비슷하다. 농업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의 왕인 하데스에게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06
알맞게 세우는 연습으로 부등식을 정복해 보자고요.구유미 선생님의 특별 처방전!중국
속담
에 ‘듣기만 하면 잊어버리고, 듣고 보면 기억된다. 만약 이것을 직접 실행에 옮기면 이해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수학 공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수학은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눈으로 보기만 해서는 ... ...
내 우주는 눈을 감을 때 더 잘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1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속담
이 있다. ‘백 번 들어도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는
속담
도 있다. 보는 것이 그렇게 확신을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세상과 우주가 꼭 눈을 떠야만 보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눈으로 무엇을 본다는 것은 빛이 그 물체에 반사되어 내 눈에 들어온다는 것이다.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09
호통치는 것도 일종의 치환공격이다.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는
속담
도 인간사의 치환공격을 빗댄 말이다. 하위 공무원 심장병 사망확률 3배영국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에서 국회의사당에 이르는 거리는 ‘화이트홀(Whitehall)’로 불리는 중앙 관청가다. 1967년 이곳의 공무원들을 ... ...
종교에서 과학으로 그림 속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피터 브뢰헬은 ‘가난한 사람들이 더 가난해지는 동안에 부자는 더 부유해진다’는
속담
을 바탕으로 는 작품을 그렸어요. 즉, 물고기는 인간의 탐욕을 의미하지요. 이 그림에서 큰 물고기들의 입에서 작은 물고기가 쏟아지는 동안 큰 물고기는 움직이지도 못하고 ... ...
슬픔이 아픔이 되는 비극
과학동아
l
201106
나중에 약간이라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사람을 패닉 상태로 빠뜨린다는 것. 옛
속담
에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가 이런 상황에 딱 들어 맞는다. 실제로 우리는 매일매일 비슷한 일을 겪으며 살아간다. 이런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할 때 신경증으로 발전한다.또는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태양이 푸른색으로 보였다고 합니다."달이 검붉게 보이면 비가 온다는
속담
이 있어요. 이
속담
을 분석해 보면 비가 오기 전 대기에는 수증기가 많아지고, 이 수증기로 인해 빛의산란이나 흡수가 증가하겠지요. 이 때 우리 눈에 보이는 달의 색이 평소와 다른 것은 당연하겠죠? 대기의 물질에 따라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01
2월 12일 기자는 김 교수와 인천공항에서 재회했다.초고체를 증명한 결정적인 실험“중국
속담
에 ‘청출어람 청어람(靑出於藍 靑於藍)’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제가 남(藍)이고 김은성 교수가 청(靑)이죠. 허허!”겨울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12월 13일 아침 일본 와코에 위치한 리켄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