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밀도"(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미술품 가짜 논란, 수학으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609
- 아름다운 여성을 그린 ‘미인도’는 26년 간 가짜 논란에 휩싸여 있습니다. 고 천경자 화백이 그린 것으로알려져 있었는데, 지난 1991년 천 화백이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이 가짜라고 주장하면서논란이 시작됐습니다.당시 국립현대미술관은 적외선과 엑스선 촬영 등 과학적인 방법을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08
- 오래된 문서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무엇에 관심이 있었고, 또 어떤 것을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언어학자들은 오래된 문서에서 색깔을 나타내는 단어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난 색깔은 검정과 하양이다. 각각 다른 색깔을 인지하고 이름을 붙이기에 앞서 깜깜한 밤과 환한 낮을 구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기보 16만 개를 달달 외웠으니 이길 수밖에 없겠다고? 바둑은 기보를 외운다고 할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니깐! 그럼 기억력 좋은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06
- 로봇공학과 I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구체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흔히 사이보그라고 부르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은 로봇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인체와의 결합, 생체신호 인지, 인체 친화적인 재료 등 로봇을 만들 때와는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06
-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구인을 태울 정도로 거대하다. 돛의 면적만 100만km2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 ... ...
- [소프트웨어] 수학 알면 롸져~ 나도 파일럿!수학동아 l201605
- 자아~, 이제 목적지인 공항이 보입니다. 아름다운 풍경에 비행기가 날아가는 화면에서 파일럿 시각으로 바꾸었어요. 저기 활주로가 보이네요. 실제로 비행기를 타고 있을 때처럼, 기체를 계단식으로 내리다가 미끄럼틀을 타듯이 스르륵 활주로를 타고 달리면 될 거예요.으아아악, 쿵! 계획과 달리 ... ...
- [지식] 배구, 스마트하게 변신하다수학동아 l201604
- “매 경기마다 연승 기록을 세우고 있는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지난 경기를 승리로 가져가며, 삼성화재 블루팡스와 타이기록을 갖게 됐지요. 말씀드리는 순간 스카이워커스가 마지막 경기까지 승리로 끝내면서 역대 최다인 18연승 신기록을 세우고 정규리그를 우승으로 마감합니다!” 한국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04
- 30년 전인 1986년 4월 26일 발생한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전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7000명이 넘는 사람이 죽고 반경 30km가 죽음의 땅으로 변했다. 하지만 충격은 오래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그 이후로도 십수 년 동안 체르노빌에 남은 원전을 그대로 운영했다. 5년 전부터는 원전을 관광지로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게임은 인공지능이 참여할 수 있는 것 중 가장 목표가 명확하고 결과를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분야다. 때문에 인공지능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게임 인공지능에 도전했다. 처음에는 두 사람이 번갈아가면서 직접 플레이하는 보드게임이 주된 공략대상이었다.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만들고 유전자를 편집해 진화의 흐름까지 바꿔 놓은 인간을 한순간에 겸손하게 만드는 것이 우주다. 우주의 95%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로 이뤄져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런 ‘암흑’을 밝힐 방법을 꾸준히 모색해왔다. 그리고 그 야심찬 결과물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