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쎄라믹
도자기
ceramic
ceramics
d라이브러리
"
세라믹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04
산화구리 면이 있는
세라믹
소재였다. 물리학자들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인
세라믹
소재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는 데 대단히 놀랐다. 얼마 지나지 않은 1987년 1월, 상당히 높은 온도인 97K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또 다른 물질이 발견됐다. 이는 비싸고 귀한 액체헬륨이 아니라 값싸고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02
년 후인 2006년에는 실제로 RAP 또는 RAM 방식에 모두 응용할 수 있는 전파흡수 재료와 전자·
세라믹
복합 재료를 개발했다. 이 밖에도 텅스텐-구리 나노복합분말 및 성형체 제조기술 역시 개발해 RAS식 전파흡수 방식도 가능성을 보여줬다. 2006년 당시 민간기업에서도 스텔스 관련 도료와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1
합금도 최고 1000℃ 정도만 견딜 수 있죠. 그래서 우주왕복선 표면에는 도자기와 비슷한
세라믹
조각을 촘촘하게 붙여야 해요. 하지만 두 가지 이상의 금속원소를 결합한 화합물인 금속간 화합물은 그보다도 높은 열을 견딜 수 있어요. 그래서 이 재료를 미래의 우주선재료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12
국산화를 도운 일이다. LCD기판회로에 생긴 미세한 불량을 복구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LCD
세라믹
기판에 새겨진 회로 금속선의 폭이 10μm에 불과할 정도로 워낙 촘촘히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회로가 있어야 할 곳에 없거나, 없어야 할 곳에 있는 불량이 발생했을 때 레이저유도가공의 한 종류인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10
알게 됐다. 마이크로입자의 1000분의 1에 해당하는 작은 입자를 만들어 활용하는 분야다.
세라믹
이나 촉매 분야에서는 30~40년 전부터 연구가 됐지만 고분자는 예외였다. 고분자는 나노입자를 만들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다. 장 교수에게 ‘행운’을 빌었던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의 갤런 스터키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우주왕복선미국의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는 1500℃ 이상의 고온에도 견딜 수 있는
세라믹
단열재로 덮여 있다. 어떤가요? 원로 의원님들, 미래 재료 후보들을 만나 보니 걱정이 싹 사라지시죠? 똑똑해진 재료 덕분에 사람들은 다리가 무너질까, 가스가 새지는 않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어질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06
넣어 발을 내딛을 때 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폴리머 발전기는
세라믹
으로 만든 것보다 부드럽고 튼튼해 걸을 때 충격을 완화해 준다.압전물질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만들지만 전류는 적게 생산하는 단점이 있다. 발전장치에 사용된 폴리머는 한 걸음에 5mJ(밀리줄, 1mJ=10-3J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05
쌍극자 놀음압전효과는 크게 정(正)압전효과와 역(逆)압전효과로 나눌 수 있다. 결정이나
세라믹
같은 압전체에 압력, 진동 같은 기계적 에너지를 가했을 때 전기가 나오는 현상을 정압전효과(1차 압전효과)라 하며, 이와 반대로 압전체에 전기를 가하면 압력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역압전효과 ... ...
구조물 안전 지키는 ‘족집게 명의’
과학동아
l
200904
연구실의 임무를 이 같이 설명했다. 이 연구실에서 개발한 ‘계장화 압입기술’은
세라믹
소재로 만든 뾰족한 침인 ‘압입자’를 접촉시켜 교량이나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의 강도와 잔류 응력 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물체를 부수지 않고도 부숴서 검사하는 효과를 얻는 게 핵심이다.현재 여건에서 ... ...
[화학] 고분자 화합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811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라고 한다. 폴리에스테르는 열가소성으로 섬유, 필름, 엔지니어링
세라믹
에 이용된다.(다)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모두 천연 고분자 화합물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분자들의 연속적인 펩티드 결합에 의해 긴 사슬 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아미노산의 종류는 불과 2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