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5
넓고, 암컷(아래쪽 사진)의 골판은 좁은 형태다.2015년 4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사이타
박사
팀은 중생대 쥐라기에 살았던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 크기만 가지고도 암컷과 수컷으로 쉽게 구별을 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어요. 수컷 골판의 면적이 암컷 골판보다 약 45%나 더 크다는 점을 근거로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잡기 어렵죠? 왜 이렇게 모기를 잡기 어려운 걸까요?최근 영국 런던대학교 리처드 봄프리
박사
팀은 모기의 비행 능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초고속카메라로 열대집모기가 나는 과정을 촬영한 뒤,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모기는 1초에 800회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수 있어요. 심지어 같은 물장군을 잡아먹는 ‘동종포식자’이기도 해요. 이강운
박사
님은 물장군이 황소개구리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외래종의 수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먹는 모습이 궁금해요!”실제로 물장군이 황소개구리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물을 막았기 때문이었어.”비밀과학수사대 친구들이 모르겠다는 표정을 짓자, 오육칠
박사
가 나섰어요.“흐르던 물을 일부러 막으면 고인 물은 점점 썩어서, 물고기가 살 수 없게 된단다.”“어머! 도대체 왜 물을 막았는데요?”오로라는 흥분해서 두 주먹을 불끈 쥐었지요. 교장 선생님은 한 손으로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하늘 높이 물을 뿜는 분수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섭섭
박사
님은 신나는 여름방학을 맞아 할머니 댁에 놀러갔어요.작은 화단에는 각양각색의 꽃들이 피어 있었답니다. 하지만 꽃들은 강렬한 햇빛에 시들어가고 있었어요. 섭섭
박사
님은 작은 분수를 만들어 꽃에게 물을 주고 싶었어요. 어떻게 하면 집에서 간단하게 분수를 만들 수 있을까요? ...
[과학뉴스] 목성은 태양계의 맏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넘었답니다. 현재 목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318배이지요.연구를 이끈 토마스 크루이저
박사
는 “태양계에서 첫 번째로 만들어진 원시 목성은 생성되고 300만 년 정도 지났을 때 지구 질량의 50배까지 커졌을 것”이라며, “목성은 생성 이후 태양계의 물질을 빠르게 끌어당겼기 때문에 태양계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손을 풀어 드렸어요.“어떻게 된 거예요?”“근처에서 오
박사
를 기다리다가 바나나 나무가 있기에 몇 개 따 먹었단다. 그런데 주민들이 갑자기 나타나 화를 내더니 여기 묶더라고. 이런 오지에도 바나나 주인이 있을지 누가 알았겠니! 하핫!”시원이 엄마는 미안하다는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두두두 둥~!”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나타나는 순간, 더 멋지게 등장해 친구들의 주목을 받고 싶었어요.섭섭
박사
님은 고민 끝에 무대에 구름을 만들어 띄우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답니다.무대 위에서 구름을 만들어 날릴 방법, 무엇이 있을까요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계절이면 공원에서 하얗고 동그란 꽃들이 피어나기 시작해요. 바로 토끼풀의 꽃이지요. ‘클로버’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은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선 ‘토끼풀’이라 불린답니다. 잔디밭에서 네잎 클로버를 찾다보면 하얀 토끼풀꽃을 쉽게 발견할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발달하지 못해 ‘씨 없는 수박’이 된답니다. 우리나라엔 이 기술을 1953년에 우장춘
박사
가 최초로 선보였지요.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돌연변이란 이유로 거부감을 갖기도 한답니다.이에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씨가 작은 품종을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