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목
d라이브러리
"
모종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08
시작된 1980년부터 지난 20년간 우리 농업은 과연 무엇을 했을까?녹색혁명을 선도한 ‘F1’
모종
우리나라는 녹색혁명에 성공한 대표적인 국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우리가 하루도 거르지 않고 먹는 김치의 재료인 배추와 무, 고추 등의 작물에서 품질과 생산성을 크게 높이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01
두뇌의 연구는 아직 초창기”라며 “두뇌의 시간 판단 기능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모종
의 과정에 의한 것일지도 모른다”고 결론지었다. 기억속에서 재창조되는 시간 내가 네게 사과를 건네주던 일, 너의 금발을/ 다정히 매만져주던 일을 너는 아직도 기억하니?/ 너도 알듯이 그건 내가 아직 잘 ... ...
4백30년전 애달픈 사연 담은 파평윤씨 母子 미라
과학동아
l
200312
종류의 꽃가루와 규조류로 확인됐다. 이것이 당시 상류사회에서 임신과 관련돼 섭취한
모종
의 음식물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오염된 식수 때문에 의한 것인지 그 원인을 밝힐 수 있다면 영양학적·의학적인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클 것이다.5천3백년간 알프스산맥 빙하에 묻혀 있던 얼음인간 미라 ... ...
나선은하에서 뿜어져 나오는 광속물질
과학동아
l
200302
찍은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에서는 감춰져 있던 모습이다. 이 나선은하에서 일어나는
모종
의 음모가 전파라는 다른 빛을 들이대자 들통나 버리고 만 것이다.‘0313-192’라는 이름의 이 은하는 모양으로 보면 나선은하지만, 특성으로 보면 전파은하다. 물줄기처럼 아래위로 뿜어져 나오는 모습이 전파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12
추정한단 말인가. 더구나 그 화산재의 양이 ‘최근 10년간 분출된 양’이라니. 출제자는
모종
의 근거를 갖고 대기가 없는 경우에 기온이 가장 낮다고 했겠지만, 이를 학생들에게 ‘과학적으로’ 추론하라는 것은 명백한 무리다. ▶ 인문계 26번의 경우, 만일 선지 가운데 ‘ㄹ’만 적어놓은 것이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07
● ● ● ● 음모론자 : 화성의 얼굴은 외계인의 거대한 유적이다. 미국 정부가 외계인과
모종
의 협상을 취한 것 아닌가.지난 5월 24일 NASA는 또 한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사람얼굴 모양의 화성 지형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임을 확실히 보여줬다.화성 얼굴지형 음모론은 해프닝으로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07
변화돼 있지 않은가.DanceAndPhilosophy, DanceAndPhysics, DanceAnd Engineering, 기타 등등. 이제 그는
모종
의 책임감까지 느끼게 된다. 이곳 저곳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새 페이지들을 둘러보며 여기 저기 코멘트도 해주고 은근슬쩍 ‘더 정확하고 예리하며 명쾌한 말’로 고쳐놓고 사라지기도 한다. 이름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5
설득력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문 : 건강과 규칙적인 성관계 양쪽이 모두
모종
의 다른 요인의 결과라고 볼 수는 없을까요?답 : 물론 그렇지요. 예를 들면 특정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거나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좋다거나 하는 경우에 이것이 원인으로 작용해서 건강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11
그릇된 방향으로 관심을 불러일으키니까 당시 정보를 토대로 해서 대중 심리전에 관한
모종
의 비밀스런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닐까요?3. 가축 절단사건사회자 네티즌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또다른 문제로 가축 절단사건이 있습니다. 주로 미국에서 1970년대 이후 약 1만여 마리의 소가 외과적인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07
못하다. 위에서 말한 머피의 법칙처럼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리기를 바라는 마음과
모종
의 피해의식이 적절하게 결합돼 개개인의 통계자료들은 각기 특정 방향으로 편향돼 있는 것이다. 이를 잘못 활용하면 손해와 이득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현실 속에서 엉뚱한 판단을 내리게 된다.에이즈 오진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