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순"(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07
- 레닌주의와 일반상대성이론이 충돌한다고 여겨서, 적극적으로 일반상대성이론의 모순성을 공격하는 논문이 발표됐다. 일반상대성이론의 네 가지 해석하지만 정치사회적 선입관을 떠나서 아인슈타인의 중력장 방정식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도 심각한 문제였다. 적어도 네 가지 해석이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06
- 나오는 모든 파장의 복사 에너지 를 합하면 무한대가 된다. 슈테판-볼츠만의 법칙과 모순되는 결과다. 유한한 온도의 흑체에서 무한한 에 너지를 얻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레일리-진스 이론에 서 에너지가 무한하게 발산하는 이유는 파장이 0에 가까워질수록 에너지 밀도가 무한하게 커지기 때문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05
- 선형변환 외의 다른 변환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이 이론은 바로 그 출발점과 모순을 일으키며,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것이 공중에 떠버린 셈입니다.”오류투성이였던 1914년 논문이 무렵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새로운 생각을 강의나 논문지도와 같은 귀찮은 업무에 시달리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전개할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05
- 있는 총이 다른 사람이 봤다고 움직일 수는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은 기발한 발상으로 이 모순을 해결합니다. ‘빛이 나온 만큼 질량도 감소한다’는 생각이었죠. 질량(관성)이 줄어들면 그만큼 물체는 힘을 받습니다. 이 힘이 빛의 반동을 없애 주면서, 누가 봐도 총은 멈춰 있다는 게 아인슈타인의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05
- 못했다. 진공을 철학적인 개념으로만 생각했기 때문이다. 토리첼리는 ‘진공’이 모순이 아님을 바로 눈앞에서 보여준 셈이다. 이렇게 압력이 도입된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과 끓는점 사이를 100등분한 것을 1℃로 하자는 국제적인 약속이 이뤄질 수 있었다.19세기 들어 ...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과학동아 l201504
- 같은 방향으로 자성을 띤다고 설명했는데 수소원자(원자핵+전자)는 그 반대라고 하니 모순되는 것처럼 들린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원자 혹은 분자의 자성은 ‘원자핵’이 아닌 ‘전자’가 결정하기 때문에 틀린 말이 아니다. 물의 수소 전자는 외부 자기장에 반대 방향으로 자성을 갖는다. 수소처럼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04
- 한다. 하지만 세디바는 더 후에 살았기 때문에, 후손이 조상보다 먼저 태어나는 시간적 모순이 생기는 것이다. [1999년 발견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가르히 역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호모 속을 이어 줄 후보로 꼽힌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르히도 조상 위치에서 밀려났다.]고인류학자들은 이미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04
- 마음’을 완전히 분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다 비극을 맞는다. 수학자들도 비슷하게 ‘모순과 거짓’ 없는 수학을 만드는 데 평생을 바친다. 과연 수학자들은 지킬 박사와 달리 해피엔딩을 맞을 수 있을까?“지금 이 순간 지금 여기 간절히 바라고 원했던 이 순간”스스로 실험대상이 되기로 결심한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03
- 수학자가 풀어야 할 수학 난제 23개를 소개했다. 그 중에서 2번 문제는 산술 공리에는 모순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라는 것이었다. 힐베르트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계산인 산술뿐만 아니라 기하학과 대수학 등 어려운 연구를 다루는 수학도 논리적으로 완벽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힐베르트 ... ...
- [참여] 수학동아 게임카페 수학적 사고는 게임의 기초!수학동아 l201503
- 이웃할 수 없다’ 같은 규칙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각 규칙 사이에 충돌하는 모순이 없어야 하고 그 규칙을 모두 만족시키는 답은 하나가 돼야 한다. 즉, 논리적으로 명확하게 승리 조건과 패배 조건을 제시하는 수학적 사고가 게임의 기초가 된다.오 교수가 게임에 배경 스토리가 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