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의
d라이브러리
"
마의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공명으로 생명의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002
좋은 MRI현미경의 해상도는 4μ 수준. 겨우 세포를 관찰할 정도이다. 그 이하는 마치 ‘
마의
장벽’처럼 가로막혀 있다.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신호의 크기는 해상도의 3제곱에 비례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KAIST 물리학과 자기공명연구실에서 1.4μ의 해상도를 가진 세계 최고의 MRI현미경을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09
여전히 장마로 봐야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기상청에서도 이런 점 때문에 “장
마의
정의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털어놨다.그러나 전체적으로 한반도의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아직 일치되지 않고 있다. 연세대 이태영 교수는 “만일 장마전선 소멸 후에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02
흐를 것은 뻔한 이치다.백범 김구 선생도 젊은 시절 방황할 때 중국의 전통 관상서인 '
마의
상법'에 심취해 관상공부를 한 적이 있다.그러나 이내 그 허망함을 깨닫고 공부를 작파했는데, 이때 그가 관상서에서 발견한 한마디는 오늘날에도 관상에 매달리는 사람들에게 교훈이 된다. "관상 좋은 것은 ... ...
⑤ 우주 수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12
이처럼 우주에서의 하루는 고무줄처럼 늘었다 줄었다 한다. 그렇다면 우주여행을 하는 살
마의
수면리듬은 어떻게 될까.우주왕복선의 하루는 90분 - 24시간 동안 해뜨는 횟수 16회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들은 24시간마다 한바퀴씩 도는 지구의 자전에 따라 뜨고 지는 태양의 영향 아래 있다. ... ...
한반도에 엘니뇨 재앙 닥칠까
과학동아
l
199712
높아져 태평양 연안국에 혹독한 기상재앙을 일으킨 엘니뇨가 이제 한반도에도 ‘
마의
손’을 뻗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최근의 언론보도를 지켜보면 올해 겨울 날씨는 엘니뇨 때문에 그리 순탄치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대기 흐름이 바뀌면서 전통적인 삼한사온(三寒四溫) ... ...
3. 자유로운 공간이동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09
사라진 비행기를 찾으러 떠난 다른 비행기도 사라졌다. 사건 이후 이 지역은 ‘
마의
버뮤다 삼각지대’ 라고 불렸다.버뮤다 삼각지대는 대서양의 버뮤다 섬과 버진 아일랜드, 그리고 쿠바 위쪽의 섬들을 잇는 삼각형 지대다. 최근 발생한 사건으로 1973년 2만t급의 독일 화물선 아니타호가 선원 32명과 ... ...
100m달리기
과학동아
l
199608
인간의 한계로 여겨졌다. 그러나 스포츠과학이 본격적으로 경기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마의
10초 벽은 서서히 깨지기 시작했다. 칼 루이스(미국)가 91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9초86을 기록했고, 린포드 크리스티(영국)는 93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9초87로 우승했다. 그리고 최근 프랭키 프레데릭스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08
실력으로나 베테랑 운전방법이라는 얘기다. 현대자동차, 공해 막는 촉매기 '
마의
3분벽' 돌파자동차가 내뿜는 배기가스는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하늘을 스모그로 뒤덮는 주범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87년부터 배기가스 속의 유해성분을 줄여주는 장치인 촉매기를 승용차에 의무장착토록 했다.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04
브루스 웨인에게, 이것은 두 주체의 편집증이 동일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니그
마의
공격대상은 자신을 저버린 브루스 웨인 한사람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의 최종목표는 웨인의 자본을 선점한 후, 뇌파기계를 통해 엄청난 돈을 버는 것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뇌파를 흡수해 자신이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12
이를 기초로 감도를 10배 정도 높이고 현재 개발 중인 개량형 측정장치를 붙이면
마의
벽인 4x${10}^{-22}$ (이 수치를 넘어야 가장 확실한 중력파원인 쌍성펄사에서 방출되는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음)을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중력파 검증은 한두 곳의 노력만으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