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덕"(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04
- 뮤지컬에선 지킬 박사가 병든 아버지를 치료하기 위해 약을 만들었지만, 원작 소설에선 도덕과 관습에 억눌린 자신의 또 다른 자아를 일깨우고 싶은 욕심에 연구를 시작한다. 소설 속 지킬은 자유분방한 제2의 자아에 빠진 오만한 과학자의 모습이지만, 뮤지컬에선 아버지를 위해 어쩔 수없이 ... ...
- [Hot Issue] 따뜻한 마음이 부른 폭력과학동아 l201503
- 내 주변 사람들을 사랑하고 그들과의 관계를 좋게 하기 위해 애썼을 뿐인데, 상황에 따라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하지만 ‘나는 내 주위 사람들을 지키고 싶었을 뿐인데’ ‘관계를 먼저 생각했을 뿐이야’ 같은 사소한 동기로 우리는 얼마든지 누군가의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02
- 유클리드 기하학은 모든 과학적 사고의 기본으로 여겨질 만큼 논리적인 학문이었다. 도덕성만 강조하던 유교나 불교의 지식을 벗어난 일본의 지식인들도 이 새로운 논리적 학문에 호기심을 가지고 깊게 빠져들었다.그런데 쇄국 정책이 시작되자 상황이 바뀌었다. 더 이상 이 새로운 학문을 가르쳐 ... ...
- 사람을 닮고 싶은 로봇의 꿈 인조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23
- 친구들이 놀러왔는데 숙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을 때, 내가 가장 자신이 없는 뜀틀을 해야 하는 체육시간에, 그리고 한창 컴퓨터 게임을 하고 있는데 엄마가 심부름을 시킬 때, 나와 똑같이 생긴 인조인간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실제로 과학자들은 사람과 무척 닮은 인조인간을 개발하고 있 ... ...
- 내가 어떤 인재인지 알고 싶다고? 그럼 지니움으로 와~!어린이과학동아 l201418
- 능력, 지각추론 능력 등 친구들의 다양한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성과 학습태도, 도덕성 같은 지능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것까지 확인할 수 있어. 그래서 ‘인지발달검사’라고도 한대. 친구들은 자신을 잘 알고, 부모님은 자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검사야.전문가들은 학교에 들어가기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11
- 반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반은 갖기로 했다’라는 동일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주고 도덕성을 평가하게 하면 평가가 갈린다. 사람들은 전자는 훌륭하지만 후자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뭔가 아이러니하지 않은가?엄중한 잣대 내려놓기미국 예일대 조지 뉴먼 교수는 사람들이 선한 행위가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0
- 콜린 알렌 교수는 저서 ‘왜 로봇의 도덕인가’에서 세 가지 접근법을 소개했다. 도덕적인 원칙에 맞춰 로봇의 판단을 결정하는 ‘논리 기반 접근법’, 다양한 사례에서 자신의 판단 근거를 찾아내는 ‘사례 기반 접근법’, 여러 사람의 행동이 맞부딪힐 때 어떤 결과를 낳는지 시뮬레이션해서 ... ...
- 가면을 쓰는 비용과학동아 l201407
- 해야 한다면 아무래도 좋은 성과를 내기 어렵지 않을까. 이 때문에 학자들은 도덕적인 이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차별금지법과 같은 법 제정과 개인의 정체성을 지나치게 억제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비밀이 많으면 몸도 아프다개인의 정체성을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06
- 잔혹한 전 장으로 보내고 싶지 않았고, 또 베트남의 민족 문제에 굳이 개입 해야 하는 도덕적 명분도 찾지 못했지요.미국에서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지는 동안, 참 전 군인들은 전투의 패배를 맛본 채 아무도 환영하지 않는 고국 으로 쓸쓸히 돌아와야 했어요. 그동안 베트남 전쟁에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06
- 여겨졌던 약한 비위나 역겨움이라는 감정이 꽤 유용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도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인가’에 대한 판단은 전염의 위협에 대한 판단과 마찬가지로 역겨움을 느끼는 것이 우리에게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지를 잘 보여준다. ‘믿기 어려운 사람’으로 한번 찍히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