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실
행동
몸놀림
움직임
짓
역할
직무
d라이브러리
"
노릇
"(으)로 총 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10
팬 전체에 퍼지면 소금을 살살 뿌려 간한 고등어를 올려요. 프라이팬에 닿은 한쪽 면이
노릇
하게 익으면 생선을 뒤집지요. 그리고 불을 약하게 줄이고 천천히 안쪽까지 익혀야 한답니다. 생선 표면에 1~2cm 간격으로 칼집을 넣어 열이 안쪽으로 빨리 들어가게 하는 것도 좋아요. 약한 불에서 천천히 ... ...
마취
과학동아
l
201309
수시로 극심한 두통을 호소하는 편두통 환자를 그때마다 전신마취로 치료할 수 는 없는
노릇
이다.급성통증은 의식이나 신경 전달을 차단해 마취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만성의 경우는 발생 과정이 훨씬 더복잡하다. 따라서 단순한 해결책을 찾기가 무척 어렵다.급성통증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은 주로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07
낮았다.저녁형이 아침에 시험 보니 잘 될리가유전자에도 새겨진 특성을 바꾸기는 어려운
노릇
이다. 다시 앞에서 언급한 연구로 돌아가 보자. 저녁형 학생이 귀납추리능력이 더 뛰어남에도 정작 학교 성적은 아침형 학생이 더 좋았다. 학자들은 학교 수업을 이른 아침에 시작하는 게 큰 영향을 ... ...
글루텐과 이스트의 맛있는 합작
과학동아
l
201306
그렇다고 짠 맛을 내고 글루텐을 단단하게 해주는 소금을 안 넣을 수도 없는
노릇
이었죠. 그래서 밀가루와 이스트를 먼저 섞어 분산시킨 뒤 소금을 섞었답니다. 그리고 달걀(1개)과 우유(100mL)를 넣고 반죽해요. 반죽이 한 덩어리가 되면 무염버터(30g)를 넣고 치대줍니다. ‘(손으로)치댄다’는 표현은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
과학동아
l
201306
것이다. 나로호도 무게의 90퍼센트가 연료다. 이를 아이언맨이 지고 다닐 수는 없는
노릇
이다.그런데 연료 문제만 해결된다면 추진체가 온 몸에 달려 있는 이번 슈트는 오히려 이전보다 과학적이다. 손과 발에만 추진체가 있던 기존 슈트는 사실 허공에서 중심을 잡으며 자유자재로 방향을 바꿀 수 ... ...
수학을 사랑한 과학동아리 회장
과학동아
l
201212
활동을 하면서도 수학공부에 대한 갈증을 느꼈다. 회장인데 동아리를 떠날 수도 없는
노릇
이었다. 기지를 발휘했다. “은근슬쩍 함께 공부하는 기사나 문헌에 수학을 끼워 넣었죠. 흥미진진한 주제의 글을 가져갔더니 아무도 눈치를 못 채더라고요. 아무렴 어때요. 수학을 알아야 과학도 하는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11
세종대왕이 수학 공부를 하다가 질문하면 충실히 답을 올렸다. 왕의 훌륭한 수학 선생님
노릇
을 톡톡히 한 것이다. 정인지뿐만 아니라 여러 수학선생들이 세종대왕이 공부하다가 질문할 것을 대비해 늘 대기하고 있었다.세종대왕의 수학 사랑이 널리 알려지자, 경상도 지역에선 중국의 수학책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08
처지가 되고 만다. 그러나 배트맨이 이대로 옴짝달싹 못하는 채로 영화를 끝낼 수는 없는
노릇
. 배트맨은 손상된 허리뼈를 맞추고 5개월 동안의 재활훈련 끝에 평소의 움직임을 되찾는데 성공한다. 그런데 정말 가능할까.정호석 서울 척병원 원장은 “배트맨의 척추 손상은 심각한 수준이지만, ... ...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03
입을 마구 때려 주고 싶었다. 하지만 이미 뱉어낸 말을 다시 주워담을 수도 없는
노릇
이었다.“내 잘못이다! 내 잘못! 어떻게 하라는 거야?”“킬킬킬, 내가 던진 것들을 살펴보라고.”문이 열렸을 때 던져진 건 거대한 숫자 6 여섯 개와 수학 연산 기호들이었다.“이걸로 뭘 하라는 거야?” 문제4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03
쓸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멀쩡히 살아 있는 사람의 뇌를 꺼내 연구할 수는 없는
노릇
이다. 대신 과학자들은 뉴런을 떼어 내 시험관에서 배양하는 방법을 쓴다.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다.인공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뉴런을 가지고 시험관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