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균류"(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01
- 논문에 발표된 중국 화석에 따르면, 약 6억 년 전 얕은 바다에서도 조류와 남세균, 균류가 뭉쳐 산, 지의류와 거의 유사한 생물이 존재했다. 육상에 생명이 존재하기 전에도 지의류와 같은 생활양식이 진화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이렇게 오래전부터 살았고, 극한 환경에 강한 천하의 지의류도 인류가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게 아닐까 추정된다”고 말했지.또 서울숲이 생긴지 오래되지 않아 버섯이 포함된 균류를 얼마 발견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생각보다 많은 26종의 버섯을 발견했어. 국립수목원 한상국 박사는 “서울숲이 건강하고 성숙해지고 있다”고 말했어. *방형구 조사는 일정 지역에 자라는 나무와 ... ...
- 지구 최남단, 하얀 사막의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05
- 볼 수 없답니다.그래도 이곳에 숨은 주인이 있어요. 바위에서 자라는 균류와 조류의 공생체, 지의류예요. 바위를 보고 있으면 검은 얼룩이 보이는데, 이들이 바로 남극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움벨리카리아와 부헬리아예요. 장보고과학기지 근처 바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답니다. 이들 외에도 노랗거나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20
- 꽃피는 식물 2종, 지의류, 이끼류 등원주민 원주민이 살지 않는 유일한 대륙.✽지의류 : 균류와 조류가 공생하는 식물군. 두 생물의 결합으로 추운 극지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북극의 특별한 매력 3가지1. 북극은 지구 환경변화를 간직하고 있다!과학자들이 북극 탐사에서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10
- 폴리우레탄을 대체할 플라스틱을 연구하기 위해서다. 에코베이티브는 새로운 균류를 연구하고 가공 방법을 추가로 개발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아직 갈 길이 멀다. 이들의 제작 공정과 제품은 아직 전과정평가(LCA)를 거치지 않았다. 농작물 폐기물을 없애고 스티로폼을 대체 할 수 있지만, 제조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09
- 냈다고 발표했다.벤터는 먼저 미생물에서 생산되는 화학물인 효소와, 곰팡이와 같은 균류 중 하나인 효모를 이용해 인공 DNA를 만들어 냈다. 이 인공 DNA를 박테리아에 넣어 합성세포를 탄생시킨 것이다.물론 벤터가 만든 것이 완벽한 인공생명체는 아니다. 그가 화학물질로 인공 DNA를 만들긴 했지만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13
- 같은 걸 좋아해서 하는 소리가 아닌 건 알고 있지?멸종위기에 처한 식물류와 해조류, 고등균류의 전체 종수가 가장 많아서일까?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이 꼭 살아남기를 바라는 생물 하나로 고른 종이 24종이나 될 정도로 다양했어. 제비붓꽃이 가장 많이 꼽혔는데도 17%거든. 습지에서 자라는 ... ...
- 음습한 생물? 편견을 버려!과학동아 l201211
- 변해 있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 붉은녹꽃잎지의류 군락이다. 저자에 따르면, 전체 균류 가운데 21%가 공생을 해서 지의체를 만든다. 전체 균의 수가 약 6만 4000종인데, 그 중 1만 3000종 이상이 지의류인 셈이다.이렇게나 많은데 우리는 그 동안 왜 몰랐던 걸까. 몰랐던 게 아니다. 굳이 알려고 하지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05
- 장유형2로 분류된 6명은 프레보텔라(Prevotella)속 미생물이 가장 많았고 상대적으로 대장균류는 적었다. 나머지 19명은 장유형3으로 분류됐는데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속 미생물이 가장 많았다. 이 종류는 뮤신이라는 점막 성분을 잘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장유형3에서 루미노코쿠스속의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01
- 3개고요. 그 안에서 곰팡이를 1508개나 분리했습니다. 황국균 뿐 아니라 푸른곰팡이와 접합균류, 유사빗자루곰팡이 등 엄청나게 많은 곰팡이가 메주를 먹여 살리고 있다는 걸 알아냈죠.”구수한 장맛 살리는 곰팡이 4총사“옛날에는 일본도 우리처럼 메주를 만들어 장을 담갔습니다. 하지만 기후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