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04
- 위협에서 자유로운지부터 알아보자. 그 이유는 ‘고유 진동수’에 있다. 모든 물체들은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것과 같은 진동수의 힘이 외부에서 가해지면 진폭이 증폭되면서 에너지가 커지는 ‘공진’ 현상을 일으킨다. 눈치 빠른 독자들은 벌써 답을 찾았을 것이다. 지진의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04
- 언어가 발달하면서 모음과 자음이 체계화됐을 때 비로소 음악과 언어가 분리돼 각자 고유한 영역으로 발전했다는 것도 의사소통 이론에서 말하는 음악의 기원이다.울창한 숲에서 사냥을 할 때 서로 원활히 의사소통하기 위한, 보통의 언어와는차별화된 도구로써 음악이 기원했다는 가설이 있다 ...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수학동아 l201704
- 위의 식을 만족하는 값이다. 그리고 S*와 VR을 반복적으로 곱하면 우세한 값을 가지는 고유벡터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비슷한 이미지데이터를 덩어리 채로 찾아 모은다. 그리고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로 나타내 비주얼 랭크 값이 큰 이미지를 찾는다. 그래서 본인의 ... ...
- [도전! 코드마스터] SW와 함께하는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04
- 등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됐어요. 하지만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가 사람의 고유 영역까지 침범할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커지고 있지요. 반면 인공지능을 설계하고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통제하는 전문가 등,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도 생기고 있어요. 4차 산업혁명은 직업에 대한 생각도 바꿔 놓고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04
- 특성이 아니다”라며 “우리가 발견한 멜라노좀의 두 가지 독특한 형태만이 척추동물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말했다. 살란 교수가 눈의 형태를 들어 연구 결과를 비판한 게 틀렸다는 얘기다. 그는 또, “살란 교수는 툴리 괴물을 복족류와 오파비니아(고생대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화석으로 발견되는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04
- 반도체 입자와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전혀 다르다. 식물이 가진 고유한 생체반응을 이용해, 장미 자체를 전기 소자로 만들었다.이번 연구에서 모든 기관에 ETE-S를 주입할 수 있었던 것은 식물의 모세관 현상 덕분이다. 작은 분자로만 존재하는 ETE-S가 장미 안에서 고분자로 결합할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04
- 전혀 다르다.가장 향기로운 효모는 누굴까식품연에서는 일본식 누룩이 아닌 우리나라 고유의 누룩을 되살리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첫 성과는 가장 향과 맛이 뛰어난 전통누룩으로부터 미생물을 발굴해 유전자 지도를 완성한 것. 살구, 바나나,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 향을 내는 에스테르 성분을 많이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04
- 말한다. 이때 대각선 방향의 성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은 0이 돼 전자의 에너지 고유값과 고유 양자 상태를 얻게 된다. 이를 ‘대각화’라고 부른다.하지만 슈뢰딩거방정식의 해밀토니안 행렬은 크기가 너무 커서 한 번에 대각화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대칭성이라는 개념을 이용해 구역별로 쪼개 ...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수학동아 l201703
- 자연과 공생하는 법을 경험으로 배우고 몸소 실천한다. 안타깝게도 자연 친화적인 한국 고유의 문화유산인 해녀의 수가 일이 고되고 사회적 인식이 낮은 탓에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해녀 문화를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발을 구르는 간격은 1초에 2.7번이었어요. 그런데 하필이면 이 간격이 건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진동수와 같았답니다. 사람들이 발을 구르는 동작이 건물의 진동과 합쳐져 건물을 흔들 정도의 진동으로 커진 거예요.이처럼 공명 현상은 건물을 흔들 정도의 위력을 발휘하기도 해요. 하지만 대부분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