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장
결과
끝
마지막
은어
성과
맺음
d라이브러리
"
결말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3
이름을 붙이지. 자기들이 이름을 붙여서인지 더 관심을 갖고 수업에 집중해. 또 행복한
결말
을 만들려고 더 열심히 수업에 참여하지.지난해 대전 동문초등학교, 경북 유강초등학교, 대구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를 비롯해 9개 초등학교에서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로 연구수업을 했어. 김영선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03
설명했다. 예선 Round 3 승리의 숫자를 선점하라!키득키득. 짝사랑의 슬픈
결말
이여~! 나와 함께 우승했던 원숭이가 떨어지다니! 그럼 이제 우승은 내 차지겠군!어림없는 소리! 나 임팔라를 빼놓고 놀이를 논하지 말라. 나야말로 이번 레이스의 진정한 우승 후보라고! 흠~. 이번엔 두 가지 게임으로 ... ...
PART 2. 큐리오시티는 뉴턴의 눈으로 길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301
이것이 가능할 만큼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다.”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아폴로13’의
결말
은 우주 비행사들의 무사 귀환이다. 뉴턴역학은 앞으로도 우리에게 친숙한 거시세계에서 여전히 물리학을 지배하고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뉴턴은 안녕하십니까PART 1. 누가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02
못하고 출구 쪽으로만 몰려간다. 심지어 넘어진 사람을 밟고 지나간다. 패닉형은 끔찍한
결말
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1903년 시카고 극장에서 일어난 화재는 15분 만에 진화됐지만 사망자만 575명에 이르렀다. 대부분 압사하거나 질식사했다.패닉형 인간은 사건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심리적으로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02
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정점의 선정부터 수행, 유지,
결말
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은 공동의 이름으로 진행돼야 한다. 만일 지구공학을 사용한다면 각각의 방법마다 효과와 비용은 물론 안전과 부작용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모든 지구공학은 저마다 한계와 문제점을 ... ...
하메드의 정체
수학동아
l
201101
단서에 있는 포도밭을 찾아 뭍으로 올라간다.“이럴 수가! 역시 납치할 때부터 이런
결말
은 예고 된 거였어.”이때 하메드가 조심스럽게 다가와 묶여 있는 허풍과 도형을 풀어 준다.“쉿! 여기 이거. 해적들이 돌아오기 전에 여기서 도망쳐. 그리고 여길 벗어나면 꼭 모로코로 돌아가서 이 퍼즐을 ... ...
앵무새의 정리
수학동아
l
201008
Prologue_ 책방을 운영하는 뤼슈 씨에게는 브라질에 사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지요.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그 친구가 뤼슈 씨에 ... 이어지는 앵무새 납치 사건과 뤼슈 씨 친구의 사건이 드디어 하나로 이어지는데, 어떤
결말
을 맞이하는지 직접 책을 읽고 확인해 보세요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01
정절을 의심해 타오르는 질투에 사로잡힌 채 파국을 맞는 오델로라는 남성의 비극적
결말
을 보며 암컷을 둘러싼 수컷 간의 피 말리는 경쟁을 읽어내려 하고, 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에서는 엠마라는 한 여성의 남성편력 속에서 끊임없이 좋은 유전자를 지닌 수컷을 찾아내 교미하려는 암컷의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05
김빠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리라. 그래서 올해 초 ‘코마’의 시나리오 버전은
결말
을 좀 더 참신하게 썼다. “… 부작용으로 젊어진 아내에 대해 남편이 오해를 해 두 사람은 크게 다투고 아내가 집을 뛰쳐나간다. 뒤늦게 자기 잘못을 깨달은 남편이 아내를 찾아 나서다 교통사고를 당한다. ... ...
줄기세포의 화려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11
005년 11월, 나나 매매 의혹으로 시작한 '황우석 사태'는 논문 자체가 가짜라는 충격적인
결말
로 사람들을 전율시켰다. 이후 국내 줄기세포 연구 위상은 걷잡을 수 없이 추락했고 많은 연구자가 이 분야를 떠났다.반면 미국, 일본, 영국 등 선진국들은 탄탄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획기적인 결과를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